아시안게임 자원봉사자 박소연씨
전담 통역 없는 여자 하키팀 등 통역 맡아하루 12시간 근무, 열악한 숙소 악조건 속
“국제스포츠 이벤트 일원 되어 행복” 미소

아시안게임 자원봉사자 박소연씨
27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케마요란의 선수촌에서 만난 한국인 자원봉사자 박소연(21·숙명여대3)씨는 “나라별 국가올림픽위원회(NOC)와 대회 조직위원회 사이의 일을 도와주거나 한국 대표팀을 위한 통역을 주로 하고 있다”며 “협회 규모가 큰 축구나 야구 종목에서는 전담 통역이 팀에 붙는데 비인기 종목에는 별도의 통역이 없을 때가 많다. 국제대회다 보니 이래저래 통역이 필요할 때가 많아서 급히 투입됐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리듬체조, 제트스키, 하키 종목의 통역을 맡았다”며 “평소에 잘 몰랐던 종목이 많아서 오후 10시부터 3~4시간씩 공부를 하다 잠이 든다. 수면 시간이 하루에 4~5시간에 그치지만 사전에 체크를 해서 들어가면 통역에 용이하기 때문에 미리 꼭 공부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씨는 “국제스포츠 이벤트에 일원으로서 뛰어보고 싶어서 평창동계올림픽에 자원봉사자로 지원했다가 떨어졌다”며 “그래도 포기할 수가 없어서 다른 종합스포츠 대회를 찾다가 아시안게임에 합류하게 됐다. 평소에 스포츠를 보는 것과 하는 것을 모두 광적으로 좋아하는데 직접 가까이서 지켜보게 돼서 좋다”며 웃어보였다.
박씨는 자카르타에 오기 위해 과외 아르바이트도 그만뒀다. 월 60만원의 수익은 대학생에게는 큰돈이지만 과감히 포기했다. 항공료에다가 예방접종 등도 모두 자비로 부담해야 하는데 개인적으로 들어간 돈이 80만원가량 된다.
현재 아시안게임 1만 5000여명의 자원봉사자 중에 외국인은 40여명이고, 한국인은 박씨까지 4명에 불과하다. 박씨는 “휴일 없이 매일 12시간씩 근무하고 있다. 주 84시간이 넘는다. 매뉴얼에는 8시간 근무가 기본이지만, 인원이 부족해 어쩔 수 없다”고 전했다. 부모님께는 늘 ‘잘 지내고 있다’고 하고 있지만 생각보다 쉽지 않은 도전이 진행 중이다.
박씨는 “본래 야구, 축구, 배구를 좋아했었는데 여기 와서 직접 보니 비인기 종목 선수들이 힘든 상황에서도 열심히 하는 것을 보고 감동을 받았다”며 “진로에 대한 고민으로 잠시 슬럼프도 겪었는데, 이들을 보고 ‘엄살 부리면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며 미소를 지어 보였다.
글 사진 자카르타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8-08-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