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프로야구 리포트] ⑤ 두산 & 키움 <끝>
2019 프로야구는 시즌 초반 고착화된 5강 구도가 포스트시즌까지 이어지며 관중수 감소 직격탄을 맞았다. 그러나 두산 베어스와 키움 히어로즈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는 야구 격언을 그라운드에서 반전으로 확인했다.정규시즌 우승에 이어 한국시리즈까지 제패한 두산은 올 시즌 주인공이다. 올해 주전포수 양의지(32)가 자유계약선수(FA) 신분으로 NC 다이노스로 떠날 때만 해도 우려가 컸다. 지난 시즌 홈런왕 김재환(31)이 15홈런으로 부진했고, 2018 다승왕 세스 후랭코프(31)도 시즌 중 어깨 부상으로 퇴출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에이스 조쉬 린드블럼(32)이 20승을 쌓고, 포수 박세혁(29)과 이영하(22)의 성장으로 두산은 새 에너지를 보충했다. 김태형(52) 감독은 야구 명가 두산의 전통을 이어 가면서도 새로 뜨고 있는 데이터 야구를 파괴하는 리더십을 보였다.
키움은 홈런왕 박병호(33), 타점왕 제리 샌즈(32) 등 공포의 타선으로 정규시즌 팀타율 전체 1위(0.282)로 승승장구했다. 국가대표팀 주전을 꿰찬 이정후(21), 김하성(24) 등 젊은 타자들의 활약과 2016년 시즌 종료 후 운영팀장에서 감독으로 전격 발탁된 장정석(46) 감독의 데이터 야구는 팀을 한국시리즈 진출로 이끄는 동력이 됐다. 특히 조상우(25)로 대표되는 철벽 불펜, 포스트시즌에서 진가를 발휘한 송성문(23)과 김규민(26)은 키움 야구의 원동력이었다.
키움은 한국시리즈 무대에선 경험에서 앞선 두산의 뚝심에 4연패로 물러났지만 향후 몇 년간 강팀으로 군림할 자질을 충분히 갖췄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적장 김 감독도 “올해 키움은 우리의 2015년을 보는 것 같았다. 굉장히 과감하고 잘 짜인 느낌으로 여러 가지 부분들이 굉장히 좋은 것 같다”고 평가했을 정도다. 내년 시즌에도 키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대목이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2019-11-0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