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웨더 은퇴 선언 “맥그리거, 내 마지막 댄스 파트너”

메이웨더 은퇴 선언 “맥그리거, 내 마지막 댄스 파트너”

입력 2017-08-27 15:41
수정 2017-08-27 15: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맥그리거는 생각보다 훨씬 강한 상대”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40·미국)가 50전 전승이라는 복싱 역사상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우고 글러브를 벗는다.

메이웨더는 27일(한국시간)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의 T-모바일 아레나에서 열린 세계복싱평의회(WBC) 슈퍼웰터급(69.85㎏) 프로복싱 12라운드 대결에서 코너 맥그리거(29·아일랜드)에게 10라운드 레프티 스톱 TKO승을 거뒀다.

UFC 사상 최초로 두 체급을 석권한 맥그리거는 2015년 9월 은퇴를 선언한 메이웨더를 소환해 이날 매서운 경기력을 선보였으나 메이웨더의 관록을 넘어서지는 못했다.

50번째 시합마저 승리로 장식하고 로키 마르시아노(49전 전승)를 넘어 복싱 역사상 최초로 50전 전승의 복서가 된 메이웨더는 경기가 끝난 뒤 링 위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메이웨더는 “신사 숙녀 여러분, 이것이 내 마지막 시합”이라며 “단언컨대 오늘 밤이 내 마지막 시합이 될 것”이라고 거듭 말했다.

그는 “복싱도 종합격투기도 위대한 스포츠다. (맥그리거의 모국인) 아일랜드 팬들에게도 감사하다”며 “내 마지막 댄스 파트너 맥그리거와 함께할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고 말했다.

메이웨더는 3개국 4개 도시에서 진행된 프로모션 투어 때만 해도 맥그리거와 ‘견원지간’처럼 으르렁거렸지만, 경기가 끝난 뒤에는 맥그리거에게 박수를 보냈다.

메이웨더는 “맥그리거는 강한 상대였다. 우리는 팬들이 보고 싶어 한 경기를 보여줬다”며 “그는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나았다. 하지만 오늘 밤 더 나은 선수는 바로 나였다”고 했다.

그는 “절대 판정까지 가지 않겠다고 팬들에게 약속했었다. 경기 계획이 정면 승부였다. 물러서지 않았다. 맥그리거가 체력이 떨어진 경기 후반을 노렸다. (매니) 파키아오와 대결 때 팬들에게 진 빚이 있었는데, 그 빚을 갚아서 기쁘다”고 웃었다.

50전 전승이라는 완전무결한 전적으로 링을 떠나게 된 메이웨더는 “전설인 마르시아노처럼 나도 명예의 전당에 들어가고 싶다”고 덧붙였다.

허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목동 재건축·목동운동장 통합개발 현장방문…‘신속 추진’ 주민 의견 전달

서울시의회 허훈 의원(국민의힘, 양천2)은 지난 30일 이기재 양천구청장과 함께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목동6단지와 목동운동장·유수지 일대를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주민간담회를 통해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방문은 목동신시가지 단지 재건축과 목동운동장·유수지 일대 통합개발의 신속 추진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방문한 목동6단지는 전체 14개의 목동신시가지 단지 중 가장 빠르게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단지로,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을 적용해 사업 절차가 대폭 단축됐다. 최근에는 서울시가 24일 발표한 ‘주택공급 촉진방안’의 첫 공정관리 시범사례로 지정돼, 정비사업 전 단계를 기존 18.5년에서 13년으로 단축하고, 단계별 공정 집중 관리를 통해 11년 이내 착공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동6단지의 선도적인 추진을 필두로, 연내 전 단지 결정고시와 조기착공 시범사업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올해 안에 14개 전체 단지 정비계획을 결정 고시하고, 협의체를 구성해 조기 착공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목동 6·8·12·13·14단지에 대한 정비계획 고시를 완료했고, 목동 4·5·7·9·10단지는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가 끝났다. 목
thumbnail - 허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목동 재건축·목동운동장 통합개발 현장방문…‘신속 추진’ 주민 의견 전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