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라운드 결과로 시즌 전체를 예단하는 건 성급한 일이다. 그러나 1라운드 성적으로 한 시즌의 판도를 미리 엿볼 수는 있다. 더욱이 1라운드 판도가 시즌 막바지까지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1라운드 8승 거둔 팀은 모두 PO 진출
역대 프로농구에서 1라운드 8승을 거둔 팀은 여섯 차례 모두 플레이오프(PO)에 진출해 확률 100%를 자랑했다. 7승을 거둔 팀 역시 11차례 모두 PO에 나아가 마찬가지였다. 6승을 거둔 팀은 26차례 진출 3차례 좌절로 89.7%, 5승을 달성한 팀은 19차례 진출 8차례 좌절로 70.4%의 확률을 기록했다. 4승을 기록한 팀은 15차례 진출 9차례 좌절로 62.5%, 3승을 거둔 팀은 5차례 진출 15차례 좌절로 25%의 확률을 보였다. 2승을 달성한 팀은 2차례 진출 15차례 좌절로 11.8%밖에 되지 않았다.
1라운드 8승을 거둔 여섯 팀 가운데 2007~08 동부가 챔피언까지, 2003~04 삼보와 2011~12 동부가 준우승까지, 2013~14 SK가 4강 PO까지, 2003~04 삼성과 2014~15 오리온스(현 오리온)가 6강 PO까지 진출했다.
●오리온, KBL 최초 두 시즌 연속 1라운드 8승
오리온은 지난 시즌 1라운드 개막 8연승에 이어 올 시즌 개막 5연승과 함께 8승1패로 1위를 질주 중이다. KBL 출범 후 1라운드 1승은 모두 여덟 차례(54경기 체제의 2001~02시즌 이후 여섯 차례) 나왔지만, 한 팀이 두 시즌 연속 8승을 기록한 건 최초다. 1라운드 8승을 이룬 여덟 팀 가운데 다섯 팀이 정규리그 1위까지 차지했다. 1라운드 7승 이상 거둔 사례는 모두 24차례(2001~02시즌 이후 17차례) 나왔는데 이들 팀은 모두 PO에 진출했다. 따라서 오리온의 4시즌 연속 PO 진출은 당연해 보인다.
오리온과 반대로 개막 4연패로 헤맸던 KGC인삼공사는 언제 그랬느냐는 듯 4승1패의 반전을 그리며 4승5패로 1라운드를 마무리했다. 1997~98 SBS도 개막 4연패 뒤 5승1패로 급반전했다.
이런 경우가 완전히 희귀한 일은 아니었다. 1998~99 나산도 이번 시즌 인삼공사와 마찬가지로 개막 4연패 이후 4승5패로 1라운드를 마감했다. 2004~05 LG는 개막 4연패 뒤 5연승을 질주했다.
재미있는 것은 그러고도 플레이오프 진출이 좌절됐다는 것. 물론 1999~2000 SBS와 2013~14 오리온스가 개막 4연패에도 PO에 진출하기도 했다.

외국선수들의 특징 중 하나는 KBL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수록 거만해진다는 것이다. 최고의 실력을 꾸준하게 유지한다면 참아줄 수 있지만 실력이 반비례 그래프를 그린다면 돌아오는 것은 퇴출 의 칼뿐이다. 프로농구 초창기 많은 인기를 끌었던 클리프 리드나 조니 맥도웰이 시즌 도중 퇴출된 것도 그래서였다.
그런데 여덟 번째 시즌을 맞아 KBL 최장수 외국선수인 애런 헤인즈에게서 그런 걸 전혀 느낄 수 없다. 항상 꾸준하다. SK에서 세 시즌 연속 3위 이상에 팀을 올려놓았던 헤인즈는 이번에 오리온 돌풍의 중심으로 자리잡았다. 물론 문태종, 김동욱, 허일영 등 탄탄한 포워드와 함께 이룬 성적이지만, 헤인즈가 없었다면 오리온의 1위 역시 쉽지 않았을 것이다. 현재 평균 28.2점을 기록 중인 헤인즈는 2008~09시즌 피트 마이클이 35.1점으로 득점왕에 오른 후 9시즌 만에 28점 이상 득점왕까지 노려볼 수 있다.
●국내선수 유일 전 경기 두 자리 득점 강병현
국내선수 중 가장 꾸준한 선수를 꼽으라면 강병현이다. 강병현은 올해 자유계약 선수로 인삼공사와 재계약했다. 자격 획득을 앞둔 시즌에 잘 하다가 FA 도장만 찍으면 부진한 선수가 종종 있다.
그런데 강병현은 오히려 지난해보다 더 좋은 출발을 보이고 있다.
강병현은 국내선수 중 유일하게 1라운드 9경기 모두 두 자리 득점을 기록했다. 외국선수 포함해도 5명 밖에 없는 기록이다. 지난 시즌에 국내선수 중 1라운드 9경기에서 두 자리 득점을 기록한 선수는 없다. 주전선수들이 몽땅 빠져버린 인삼공사가 1라운드에 반전을 만들 수 있었던 건 강병현의 꾸준함이 밑바탕에 있기에 가능했다.
8일 kt-KCC 경기로 시작하는 2라운드는 국가대표팀에 차출됐던 주전들이 속속 복귀하고 3쿼터에 체격과 스타일이 서로 다른 두 외국인이 동시에 코트를 누비면서 1라운드와는 상당히 다른 판도가 그려질 가능성이 있어 더욱 기대된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