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 조·조 대결 조훈현이 이겼다

‘전설’ 조·조 대결 조훈현이 이겼다

김민수 기자
입력 2015-07-26 23:54
수정 2015-07-27 00: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년 만의 대국서 154수 만에 시간승

‘반상의 전설’ 맞대결에서 조훈현(62) 9단이 웃었다.
조훈현(왼쪽) 9단이 26일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에서 현대바둑 70돌을 맞아 펼친 조치훈 9단과의 특별대국 도중 수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조훈현(왼쪽) 9단이 26일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에서 현대바둑 70돌을 맞아 펼친 조치훈 9단과의 특별대국 도중 수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이미지 확대
조훈현 9단은 26일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에서 열린 특별 대국에서 조치훈(59) 9단을 맞아 154수 만에 백 시간승을 거뒀다. 시종일관 난타전으로 전개된 대국에서 조치훈 9단은 미생(未生·살아 있지 않은 돌)인 중앙 흑 대마를 타개하는 과정에서 계시원이 초읽기 “열”을 부르는 순간 착수해 아쉽게 시간패했다. 조훈현 9단은 “경기는 이겼지만 승부는 졌다”며 웃었고, 조치훈 9단은 “졌다”고 패배를 시인했다.

올드 팬들이 가장 보고 싶어 하는 대결로 꼽힌 이번 대국은 한국 현대바둑 70주년을 기념해 마련됐다. 제한시간 각자 1시간에 40초 초읽기 3회가 주어진 대국은 흰 한복 차림의 조훈현 9단과 특유의 덥수룩한 머리에 콧수염을 기른 조치훈 9단이 마주 앉은 것만으로도 팬들의 향수를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두 기사는 1980~90년대 한국과 일본 바둑계를 평정한 ‘레전드’다. 둘의 마지막 대결인 2003년 10월 제8회 삼성화재배 8강전에서 조치훈 9단이 불계승했지만 12년 만에 격돌한 이날 대결에서는 조훈현 9단이 자존심을 세웠다. 이로써 조훈현 9단은 상대 전적에서 9승5패(비공식 대국 포함)를 기록했다.

젊은 기사들에게 밀리는 것에 대해 조훈현 9단은 “체력 때문이지만 정신력에서는 뒤지지 않는다”고 강조했고 조치훈 9단은 “나이가 들면서 더 열심히 공부한다”고 밝혔다.

두 기사 모두 체력 관리를 위해 골프를 즐긴다고 덧붙였다.

조훈현은 세계 최연소인 9세에 입단해 프로 통산 160회 우승한 ‘바둑 황제’다. 1980년대 초·중반 국내기전 전관왕을 3차례나 달성했다. 특히 1989년 한국기사로는 유일하게 제1회 응창기배에 나서 우승, 바둑 변방 한국의 위상을 높였다. 당시 대회 측은 구색을 맞추기 위해 변방의 조훈현을 초청했지만 그는 바둑의 맹주를 자처하던 일본과 중국의 고수를 연파하며 세계 바둑계를 경악시켰다.

6세 때 일본으로 건너간 조치훈은 11세 때 입단한 천재 기사다. 1980년 권위의 명인(名人) 타이틀을 거머쥐어 “명인을 따지 않고서는 돌아오지 않겠다”는 팬과의 약속을 지켰다. 1990년대 중·후반에는 일본 1∼3위 기전인 기성(棋聖), 명인, 본인방(本因坊)을 동시에 석권하는 대삼관(大三冠)을 무려 4차례나 일궈냈다. 1986년 의문의 교통사고를 당해 휠체어에 앉아 바둑을 두기도 했다. 그는 이듬해 ‘천원’ 우승으로 일본 사상 첫 7대 타이틀을 석권하는 ‘그랜드슬램’의 역사를 썼다.

김민수 선임기자 kimms@seoul.co.kr
2015-07-2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