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월드컵- 심석희 1,000m 우승…8연속 금메달

-쇼트트랙월드컵- 심석희 1,000m 우승…8연속 금메달

입력 2013-10-06 00:00
수정 2013-10-06 17: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여자 1,000m 메달 싹쓸이…박세영 남자 1,000m 동메달

한국 여자 쇼트트랙의 ‘차세대 여왕’ 심석희(16·세화여고)가 월드컵 시리즈에서 어김없이 금메달을 하나 추가했다.

일 오후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에서 열린 2013-2014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월드컵 2차 대회 여자 1000m 결승 경기에서 심석희(53), 박승희(56), 김아랑(51)이 나란히 선두에서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일 오후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에서 열린 2013-2014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월드컵 2차 대회 여자 1000m 결승 경기에서 심석희(53), 박승희(56), 김아랑(51)이 나란히 선두에서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심석희는 6일 서울 양천구 목동아이스링크에서 열린 2013-2014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월드컵 2차 대회 여자 1,000m 결승에서 1분30초546만에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이로써 심석희는 올 시즌 두 대회 연속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지난 시즌 월드컵 1∼6차 대회와 올 시즌 1차 대회에서 매번 1,500m 레이스 정상에 오른 심석희는 전날 1,500m 결승에서 은메달에 그쳐 이 종목 8연속 금메달 행진은 달성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날 1,000m에서 우승해 월드컵 8개 대회 연속 금메달 행진을 이어가는 것으로 아쉬움을 달랬다.

심석희에 이어 박승희(화성시청)와 김아랑(전주제일고)이 2∼3위에 올라 한국은 여자 1,000m에 걸린 메달 3개를 싹쓸이하는 쾌거를 이뤘다.

세 선수가 모두 준준결승과 준결승을 가볍게 통과, 결승은 한국 선수 세 명과 요리엔 테르모르스(네덜란드), 엘리스 크리스티(영국)이 격돌했다.

심석희와 박승희, 김아랑은 레이스 후반까지 나란히 2∼4위를 달리며 페이스를 조절했다.

그러다가 3바퀴를 남기고 선두를 달리던 테르모르스의 좌우를 공략하며 차례로 추월, 1∼3위로 올라서는 환상적인 팀워크를 선보였다.

마지막 바퀴에서는 아예 테르모르스와 격차가 1초 이상 벌어져 경기는 한국의 압승으로 끝났다.

반면 남자 1,000m에서는 여전히 고전했다.

4일 예선에서 신다운(서울시청)이 탈락한 데 이어 이날 준결승에서는 이한빈(서울시청)마저 고배를 들어 결승에는 박세영(단국대)밖에 올라가지 못했다.

박세영은 홀로 나선 결승에서 고전한 끝에 1분27초773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목에 거는 데 그쳤다.

우다징(중국)이 1분27초662로 우승했고, 러시아로 귀화한 안현수(러시아명 빅토르 안)가 1분27초683만에 결승선을 통과해 2위에 올랐다.

전날 남자 500m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안현수는 이틀 연속 메달 행진을 이어가며 건재를 알렸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