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웨어러블 전자소자 등에 적용이 가능한 그래핀 플루오라이드 기반 고방열 절연 필름 제조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교통대학교 열-전기 핵심연구지원센터(센터장 김일호)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김성룡(나노고분자 전공)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신소재인 그래핀 플루오라이드를 이용해 유연 전자소자에 적용 가능한 플렉시블 고방열 절연 필름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노벨상을 수상해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신소재인 그래핀은 현존 소재 중 최고의 열전도를 가지지만 전기를 통하기 때문에 전자소자에 적용될 때 상당한 제약을 가지고 있다.
반면 김 교수팀이 사용한 그래핀 플루오라이드는 열전도도가 많이 높을 뿐만 아니라 그래핀에 불소 원자가 결합되어 전기가 흐르지 않고 불에 타지 않는 매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차세대 나노소재다.
김 교수는 “개발 기술은 저비용의 볼밀링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정이 간단해서 가격 경쟁력이 높은 방열필름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학계에서는 최근 중요성이 높아지는 스마트 웨어러블 전자소자에 본 기술이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연구성과는 그래핀 플루오라이드의 새로운 응용분야를 제시한 것으로 향후 재료공학 분야 및 웨어러블 전자소재 분야 발전에 중요한 기여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미국화학회에서 출판되는 나노 재료분야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미국화학회 응용물질 및 계면(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Impact factor: 8.456)’에 지난달 29일자로 온라인 판으로 게재됐으며, 현재 특허 출원 중에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