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과 식품에 ‘궁합’이 있듯 의약품 사이에도 ‘궁합’이 있습니다. 함께 복용해선 안 될 의약품을 의사 처방 없이 임의로 섞어 먹게 되면 상호작용으로 뜻하지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 특히 약을 계속 복용하는 환자라면 감기약을 처방받을 때도 꼭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감기약에는 대개 재채기·가려움증을 완화해 주는 항히스타민제가 들어 있는데, 부정맥이 있는 환자가 항히스타민제와 항부정맥제를 함께 복용하면 심장이 빨리 뛰거나 심하게 떨리는 심실성 부정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 혈중 콜레스테롤이 높은 고지혈증 치료에 사용되는 스타틴제제를 복용하면서 항부정맥제나 항바이러스제를 먹으면 근육 관련 질환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위산 과다로 속 쓰림 증상이 있을 때 먹는 제산제도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의약품과 먹을 때는 조심해야 합니다. 항생제 또는 강심제를 제산제와 함께 먹으면 제산제가 해당 약품의 흡수를 저해해 효과가 감소합니다. 아스피린과 제산제를 한꺼번에 먹어도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제산제는 위산을 줄여 속 쓰림을 없애려고 먹는 것인데, 아스피린은 오히려 위산을 증가시키기 때문이죠. 또 제산제 때문에 아스피린 성분은 효과를 발휘하기도 전에 대부분 몸 밖으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이 밖에 진정제 및 신경안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수면보조제는 먹지 않는 게 좋고, 복통·오심·구토가 있는 경우에는 설사약은 피해야 합니다.
■도움말 식품의약품안전처
또 혈중 콜레스테롤이 높은 고지혈증 치료에 사용되는 스타틴제제를 복용하면서 항부정맥제나 항바이러스제를 먹으면 근육 관련 질환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위산 과다로 속 쓰림 증상이 있을 때 먹는 제산제도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의약품과 먹을 때는 조심해야 합니다. 항생제 또는 강심제를 제산제와 함께 먹으면 제산제가 해당 약품의 흡수를 저해해 효과가 감소합니다. 아스피린과 제산제를 한꺼번에 먹어도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제산제는 위산을 줄여 속 쓰림을 없애려고 먹는 것인데, 아스피린은 오히려 위산을 증가시키기 때문이죠. 또 제산제 때문에 아스피린 성분은 효과를 발휘하기도 전에 대부분 몸 밖으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이 밖에 진정제 및 신경안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수면보조제는 먹지 않는 게 좋고, 복통·오심·구토가 있는 경우에는 설사약은 피해야 합니다.
■도움말 식품의약품안전처
2014-10-2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