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달롱개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달롱개

입력 2012-04-16 00:00
수정 2012-04-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잘 다듬어 칼칼하게 씻은 달롱개를 한소끔 끓인 된장국에 듬뿍 얹어 밥상에 올립니다. 피어오르는 김에 얹혀 번지는 달롱개의 향취가 금세 온몸을 맑은 연둣빛으로 물들입니다. 시인 영랑은 물드는 감잎을 보며 ‘오메, 단풍 들겄네’ 이랬는데, 달롱개 얹힌 토장국을 마주하자니 그가 느꼈음 직한 충동이 일어 ‘오메, 이 봄.’ 하며 찬탄을 터뜨립니다. 달롱개가 뭐냐고요? ‘달래, 냉이, 씀바귀’의 그 달래를 남녘에서는 달롱개라고 하지요.

이 즈음이면 신문, 방송이 앞다퉈 전국 곳곳의 춘신을 전하는데, 그때마다 빠지지 않는 게 달롱개입니다. 흙속에서 캐낸 흰 알뿌리가 대롱거리는 걸 보면 달래보다 달롱개라는 사투리가 휠씬 정이 가는 이름도 같습니다.

된장국에 숭숭 썬 달롱개를 얹어 먹는 맛도 일품이지만 조선간장에 고춧가루와 다진 마늘, 잘막잘막 썬 달롱개를 푸지게 넣고 참기름 둘러 만든 양념장을 갓 지어낸 뜨신 밥에 얹어 먹는 맛도 일품입니다. 모든 것이 곤궁한 봄 즈음, 달롱개 양념장에 얼간 고등어 한두 마리 구워 올리면 그 담박한 풍요감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기억입니다. 아니, 그렇게 품 들일 것도 없습니다. 샘가에서 엄마가 막 씻어 채반에 담아 둔 달롱개 한 뿌리를 입에 넣고 씹으면 혀끝에 아릿하게 전해오는 그 상큼함이 금세 가슴으로, 어디로 퍼져나가며 일찍 온 봄을 말해 주곤 했지요.

동네 마트에서 그 달롱개를 만납니다. 잘 씻어 말끔하게 단을 지어놨습니다. 그걸 물끄러미 보고 있자니 아내가 옷자락을 잡아끕니다. 아내 얼굴에 ‘또 쓸데없는 것 사려고 그러지.’ 하는 표정이 역력합니다. 아내는 도회 여자라 저 같은 먹거리 집착이 없습니다. 결혼해 살면서 ‘토속’을 무진 가르쳤지만 그게 유전자에 각인이 되지 않으니 외식이라도 할라치면 십중팔구 ‘고깃집’을 꼽지요.

그런 아내의 의중을 애써 무시하며 달롱개 한 묶음 집어들고 돌아오는 제 발걸음이 가볍습니다. 꼭 그걸 먹을 수 있어서가 아니라 그 달롱개에서 잊혀진 기억 한 토막을 복구해 낸 까닭입니다. 그날, 저 혼자만 식탁에서 2012년의 새봄을 만났습니다.

jeshim@seoul.co.kr



2012-04-1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