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광화문광장 ‘비치’서 더위 식혀요”

[포토] “광화문광장 ‘비치’서 더위 식혀요”

입력 2023-07-24 16:09
수정 2023-07-24 16: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는 도심에서 더위를 식힐 수 있는 물놀이장과 물놀이 프로그램을 24일 안내했다.

시는 서울관광재단과 함께 이달 28일부터 8월 13일까지 ‘서울썸머비치’를 운영한다.

광화문광장을 찾은 시민은 광장 바닥 분수(명량분수·한글분수·터널분수)에서 시원하게 뿜어져 나오는 물줄기를 맞으며 더위를 식히고, 높이 8m·길이 20m의 물 미끄럼틀(워터 슬라이드)과 대형 수영장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행사 기간 현대백화점과 협업으로 푸드트럭과 플리마켓(벼룩시장)을 운영해 닭강정, 떡볶이, 김밥, 아이스크림, 커피 등 먹거리와 다양한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4개 자치구(중구·광진구·동작구·강서구)와 함께 가설 물놀이장 6곳을 조성하고 물총놀이, 얼음화석 발굴 등 다채로운 물놀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중구는 8월 1∼6일 다산어린이공원(6세 이하), 훈련원공원(13세 이하) 등 2곳에서 ‘우리동네 수영장’을 운영한다. 운영시간은 오전 10시∼오후 2시, 오후 2∼5시이고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과 중구청 홈페이지에서 게시된 QR코드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광진구는 다음달 4일부터 사흘간 광진숲나루에서 가설형 물놀이장과 물놀이 프로그램을 총 5회 운영한다. 얼음화석발굴, 대형 비눗방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가족 단위로 나온 시민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시 직영 공원인 마포구 월드컵공원에서는 ‘더위사냥! 난지비치로 가자∼’ 행사가 8월 4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물풍선 땅따먹기 등 6가지 종목으로 구성된 물 운동회, 창작 매직쇼, 오싹 영화관, 빨대 팔찌 만들기 등이 준비됐다. 운영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며 물 운동회를 제외한 나머지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선착순 참여하면 된다.

동작구는 내달 12일 노량진수산시장 옆 노량진축구장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동작구 어린이 노량 물총대첩’을 개최한다. 동작구에 거주하는 유아·초등학생은 누구나 사전 신청 없이 무료로 선착순 참여할 수 있다.

서준오 서울시의원, 공릉1단지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직접 참여

서울시의회 서준오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4)이 지난 25일 SH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의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첫 대상지인 노원구 공릉1단지아파트를 찾아 저장강박 의심세대 거주환경 개선과 특별 소독에 직접 참여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공릉1단지 임대단지 내 일부 저장강박 의심세대로 인하여, 인접 거주 세대 및 공용공간 위생이 불량해진다는 민원이 다수 발생함에 따라 SH공사에서 예산을 투입하여 진행했다. 공릉1동 주민센터 및 지역사회 자원봉사자 약 15명과 함께 서준오 의원, 그리고 공릉동을 지역구로 둔 오금란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2)이 구슬땀을 흘렸다.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공릉1단지 아파트는 1994년 12월에 입주한 총 1395세대가 거주하는 SH공사의 영구임대 아파트이다. 지어진 지 30년이 되어 주거환경이 열악한 상태인 탓도 있지만, 일부 저장강박 의심세대의 세대 내 과다한 적치물과 소독거부로 인한 해충 발생, 번식이 주변 주민들을 힘들게 하고 있었다. 서 의원은 매주 일요일, 우원식 국회의장(서울노원구갑)과 함께 노원구 3곳에서 현장민원실을 운영 중인데, 공릉1단지 방역이 필요하다는 민원도 여기에서 접수되었다. 유사한 민원이 지속
thumbnail - 서준오 서울시의원, 공릉1단지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직접 참여

강서구는 8월 12∼13일 방화근린공원에서 ‘우리동네 신박한 워터파크’를 총 4회차 운영한다. 신청은 다음달 1일부터 강서구청 누리집 공지사항에 등록된 QR코드를 통해서 할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