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8주기 선상 추모식
단원고 교정에서 따온 벚꽃 헌화
250명 이름 일일이 부르며 눈물
“정치권 힘 합쳐 진상규명 했으면”

16일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인근 해역 맹골수도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8주기 선상 추모식에서 유가족은 자녀의 사진 앞에 국화를 헌화 했다.
세월호 유가족들이 전날 경기 안산 단원고 교정에서 따 온 것들이다. 유가족들은 이날 열린 선상 추모식에서 벚꽃을 뿌리며 아이들의 이름을 목 놓아 불렀다.
유가족은 이른 아침 전남 목포해양경찰서 전용부두에서 경비함에 올라타고 오전 10시 20분쯤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인근의 참사 현장에 도착했다. 경비함은 ‘세월’이라고 쓰인 부표를 천천히 선회했다. 묵념과 추도사 낭독에 이어 단원고 희생자 250명의 이름이 하나하나 호명됐다. 벚꽃과 국화를 손에 든 유족들은 면장갑으로 연신 눈물을 닦거나 고개를 숙이고 흐느꼈다.
단원고 2학년 2반 송지나 학생의 아버지 송용기(48)씨는 “딸이 야간 자율학습을 마치는 시간이 되면 딸과 얘기를 나누려고 일부러 차를 집에 두고 걸어서 데리러 갔다”며 “딸의 가방을 대신 메고 걸어오는 동안 분식집에서 튀김을 하나씩 사 주곤 했는데, 살찌겠다는 걱정 없이 더 많이 사 줄 걸 그랬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경기 단원고 교정에서 가져온 벚꽃을 바다 위로 흩날리며 통곡했다.
2학년 8반 이호진 학생의 아버지 이용기(53)씨는 “참사가 아니었다면 지금쯤 우리 아들도 군대에 다녀왔을 나이가 됐다”면서 “정치인들도 다들 자식이 있을 텐데 세월호 참사에 진보와 보수가 어디 있겠느냐”며 “정치권이 힘을 합쳐 진상규명을 해 달라”고 말했다.
추모식이 끝난 뒤 유가족들은 목포 신항으로 이동해 세월호 선체 앞에서 헌화를 한 뒤 선체를 둘러봤다. 붉게 부은 눈으로 녹이 슨 선체를 바라보던 2학년 3반 김빛나라 학생의 어머니 박정화(55)씨는 “남편이 지난해 간암 수술을 했는데 여기서 죽더라도 딸을 보겠다고 해 함께 찾아왔다”며 “괜찮다가도 4월 이맘때가 되면 여전히 아이 생각이 나 힘들다”고 말했다. 2015년 유가족이 사비로 어선을 빌린 데서 시작한 선상 추모식은 2020년부터 4·16재단에서 개최하는 공식 행사로 진행되고 있다.
2022-04-1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