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의원 10명 중 3명은 주택 2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라는 시민단체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4일 기자회견을 열고 21대 국회의원 300명이 후보 등록 당시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한 전체 자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이 분석한 의원 본인과 배우자의 주택 보유 현황을 보면 집을 2채 이상 보유한 의원은 88명(29%)이고, 이 중 3주택 이상 보유자도 17명(6%)이었다. 무주택자는 50명(17%)에 불과했다. 정당별 다주택자는 미래통합당(103석)이 41명(40%), 더불어민주당(180석)이 43명(24%)였고, 열린민주당과 정의당이 1명씩이었다.
공시지가 기준 선관위에 신고된 1인당 평균 부동산 재산은 13억 5000만원으로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가구당 평균(3억원)의 4.5배에 달했다. 정당별 의원 1인당 평균 부동산 재산은 미래통합당 소속이 20억 80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열린민주당(11억 3000만원), 더불어민주당(9억 8000만원), 국민의당(8억 1000만원), 정의당(4억 2000만원)이었다.
21대 국회에서 부동산 재산이 가장 많은 의원은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397억 8000만원)이었다. 박 의원은 서울 마포구에 신고액 기준 383억원 규모 빌딩과 경기 고양시와 파주시에 아파트 2채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덕흠 미래통합당 의원(288억 8000만원), 백종헌 미래통합당 의원(170억 1000만원), 김은혜 미래통합당 의원(168억 50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부동산 및 금융자산을 포함한 1인당 전체 평균 자산 규모는 21억 8000만원으로, 가구당 평균 자산인 4억 3000만원의 5배를 웃도는 수준이었다.
김헌동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 본부장은 “국회의원 후보자가 재산을 실거래가가 아닌 공시지가로 공개하고 부동산 세부 주소를 밝히지 않아 실거래가를 검증하기 어렵다”면서 “고위공직자가 공시지가와 실거래가를 모두 공개하도록 공직자윤리법을 개정하는 방안을 경실련의 1호 입법청원으로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20대 국회의원의 아파트값 신고금액(9억원)과 시세(16억원) 차가 7억에 달했다고 지적하며 “국회의원 등 고위공직자가 자기 재산이 얼마인지 정확히 밝히지도 못한다면 국민을 위해 일할 수 있겠냐”고 말했다.
경실련은 “21대 국회의원 상임위 배정 시 이해 충돌방지를 위해 최소한 부동산부자, 다주택자는 국토교통위와 기획재정위 등에 배정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