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대는 4년째 하락 64.3%
일반대 졸업생의 취업률은 4년째 소폭 하락세를 이어 간 반면 전문대 졸업생 취업률은 2년 연속 증가했다. 최근 국내 기업들이 채용문을 예년만큼 열지 않자 전문대 졸업생들이 해외 구직이나 1인 창업 등에 눈을 돌려 일자리를 찾은 결과라는 분석이다.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28일 내놓은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통계조사’에는 이런 결과가 담겼다. 이번 조사는 건강보험과 국세 자료를 토대로 2015년 8월과 2016년 2월 전국 대학 및 일반대학원 졸업자 58만 695명 전원의 진로를 분석(2016년 12월 31일 기준)한 것이다. 지난해 대학·대학원 졸업자(51만 6620명) 중 취업한 사람은 34만 9584명으로 취업률은 67.7%였다. 한해 전(67.5%)보다 미미하게 높아졌다. 학제별로는 일반대학 취업률이 64.3%, 전문대가 70.6%, 일반대학원이 78.3%였다. 전문대와 일반대학원 취업률은 각 1.1% 포인트와 0.5% 포인트 높아졌지만 일반대 취업률은 0.1% 포인트 낮아졌다. 특히 전문대 취업률은 2년 연속 높아진 데 비해 일반대 취업률은 4년 연속 하락하는 추세였다. 교육개발원 관계자는 “전문대 학생들은 정부의 해외취업지원사업인 K-무브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학교들도 학생들이 창업, 개인창작 활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면서 취업률 상승은 이에 대한 효과로 봤다. 반면 일반대 졸업생들은 상대적으로 국내 대기업 등 안정적 일자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취업률이 조금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7-12-2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