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진료인원 13만명…5년간 연평균 2.0% 증가 “머리를 돌리고 사물 보거나 밝은 빛에 눈 찡그리면 검사해봐야”
두 눈이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는 ‘사시’(斜視) 환자의 절반이 9세 이하 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시는 소아에게 흔히 나타나지만 방치하면 시력 발달 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국내 소아의 2%에서 사시 증상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시 9세 이하 아동이 절반 이상 밝은내일안과 블로그 갈무리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사시 9세 이하 아동이 절반 이상
밝은내일안과 블로그 갈무리
1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빅데이터에 따르면 사시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1년 11만 9000명에서 2016년 13만 2000명으로 5년간 연평균 2.0% 증가했다.
어린 아이들에게 주로 발생하는 사시는 좌우의 시선이 일치하지 못해 양쪽 눈으로 사물을 바라보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9세 이하가 6만 7000명(50.9%)으로 가장 많았다. 10대(3만 6000명, 27.3%), 20대(7000명, 5.4%), 30대(4000명, 3.0%) 등 순이었다.
10세 이하 환자를 세분해서 보면 9세 아동이 7885명으로 가장 많았고, 6세 7328명, 5세 7273명 순이었다.
사시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영아사시는 생후 6개월 이전에, 조절내사시(안구가 원시를 극복하려고 조절을 하면서 발생하는 질환)는 18개월 전후에 나타나며, 간헐외사시(한눈 또는 양눈이 교대로 가끔 바깥으로 돌아가는 질환)는 3∼4세 전후에 나타난다.
대표적인 사시 증상은 한 눈이 코나 귀 쪽으로 향해 있고 눈의 초점이 풀려 보이거나 햇빛이나 밝은 빛을 볼 때 한눈을 찡그리는 것이다.
또 눈의 피로나 두통을 호소하고 사물을 볼 때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고 보거나 머리를 한쪽으로 갸우뚱하게 기울이는 버릇이 있으면 사시를 의심해봐야 한다.
김혜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안과) 교수는 “출생 직후 나타나는 영아사시는 생후 4∼5개월경부터 수술이 가능하고, 늦어도 2세 이전에는 수술하는 것이 좋다”면서 “조절내사시는 안경 착용이 원칙이고,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사시는 증상의 빈도와 사시 각을 고려해 치료 시기를 결정하고 수술이 필요한 경우 초등학교 입학 전에 교정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성인에게는 뇌 신경 마비에 의해 사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갑상선 질환, 안와질환으로 안구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근육에 이상이 생겼을 때, 신경전달 근육 이상인 근무력증 같은 전신질환이 발생할 때 사시 발생 가능성이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