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기부제 도입 찬성 78.3%…기부액 6만∼10만원 최다

고향기부제 도입 찬성 78.3%…기부액 6만∼10만원 최다

입력 2017-08-11 15:39
수정 2017-08-11 15: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북도의회 국민 대상 여론조사…“지방 재정에 도움”

국민 10명 중 8명가량은 고향기부제 도입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1일 나왔다.

고향기부제는 출향민이 고향을 지정해 일정액의 기부금을 내면 그 고향의 지자체는 기부자에게 기부금 일부에 대해 소득 공제해주는 것이다.

인구와 산업이 줄어 재정형편이 열악한 중소 도시 및 농어촌지역의 재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로 일본에서 비슷한 제도가 시행 중이다.

전북도의회의 의뢰로 한국정보통계가 이달 3∼7일 전국의 성인 1천명(95% 신뢰 수준, 표본오차 ±3.1% 포인트)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고향기부제 도입에 대해 적극 찬성이 19%, 찬성이 59.3%로 전체의 78.3%가 찬성했다.

또 고향에 얼마를 기부하겠느냐는 질문에는 6만∼10만원이 33.8%로 가장 많았고 11만∼50만원이 17.2%, 50만원 이상이 11%로 조사됐다.

기부대상 지역으로는 ‘태어나고 자란 곳’이 55%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현 거주지’가 26.6%, ‘부모의 고향’이 12.3%로 뒤를 이었다.

기부문화의 정착과 동기부여 등을 위해 기부자에게 고향의 특산품을 답례품으로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전체의 65.8%가 찬성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반대는 18.9%였으며 나머지 15.3%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지난해 전북도의회 양성빈 의원이 제안한 고향기부제는 전국시도의장단협의회가 정식 안건으로 다루면서 전국적인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후 국회가 고향기부제 입법화를 추진 중이며 행정자치부도 신규제정안 입법을 준비하고 있다.

전북연구원은 기부제가 도입되면 연간 국세 4천억원가량이 지방으로 이전될 것으로 내다봤다.

양성빈 전북도의원은 “지역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모델이 될 고향기부제는 국세에서 전액 세액공제를 하기 때문에 모든 지역에 지방 재정 유입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향기부제가 지자체에 새 숨을 불어넣는 완성도 있는 제도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답례품 제공 방안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폭염에 따른 농산물 물가 현장 긴급 점검 수급 대책 등 주문

폭염과 집중 휴가철을 앞두고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자 서울시의회가 물가 점검과 대책마련을 위한 현장 점검에 나섰다. 29일 오전,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폭염·폭우로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는 등 민생 물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농축산물 수급과 물가안정 대책 점검을 위해 긴급히 가락시장을 방문했다. 이날 현장 방문에는 임춘대 기획경제위원장, 김지향 시민권익위원장, 문영표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이하 ‘공사’) 사장 등과 함께, 가락시장 내 과일 및 채소, 수산물과 채소 점포들을 둘러보며 농축산물 물가 상황을 점검했다. 현장에서 수박(10kg) 3만 7564원, 복숭아(경봉 10kg) 5만 2126원으로 거래돼 전년(2만 5001원, 3만 2016원)대비 각각 50%, 63% 이상 가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청양고추는 평년(3만 8226원)대비 가격이 두 배 이상 증가해 7만 9613원(108%) 기록했다. 특히 최 의장과 위원장들은 공사 사장으로부터 주요 농축산물 수급 현황과 가격 동향은 물론, 이에 대한 공사의 대책 보고를 받았는데, 공사는 소고기, 돼지고기의 공급량은 안정적이나 휴가철 소비 증가와 민생회복 쿠폰 사용 등으로 전년대비 해당 품목의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폭염에 따른 농산물 물가 현장 긴급 점검 수급 대책 등 주문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