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에 새끼 돌고래가 태어났다. 울산 남구도시관리공단은 13일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 보조풀장에서 암컷 큰돌고래 ‘장꽃분’이 새끼 돌고래를 낳았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13일 울산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에서 태어난 새끼 돌고래가 어미 돌고래와 함께 보조풀장을 헤엄치고 있다. 울산 남구도시관리공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3일 울산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에서 태어난 새끼 돌고래가 어미 돌고래와 함께 보조풀장을 헤엄치고 있다. 울산 남구도시관리공단 제공
새끼 돌고래의 성별, 몸길이, 무게 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체험관 측은 새끼 돌고래의 건강을 위해 현재 어미와 함께 안정을 취하도록 배려, 다른 돌고래나 외부인의 접근을 통제하고 있다. 새끼 돌고래는 호흡을 위해 수면 위아래로 자맥질하는 등 어미를 따라다니고 있고, 건강은 양호한 상태다.
체험관 측은 새끼와 어미의 안정을 위해 이날 출산은 전시용 수족관이 아닌 외부인의 출입이 제한된 보조풀장을 이용했다. 이 돌고래는 2014년 3월 수족관에서 첫 새끼를 낳았다. 그러나 새끼는 수족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3일 만에 폐사했다. 이듬해인 2015년 6월에도 다시 출산했으나 또 6일 만에 죽었다.
수족관에서 태어난 새끼 돌고래의 1년 생존율은 30∼50% 수준으로 알려졌고,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총 6마리가 태어나 이 중 5마리가 죽어 생존율이 17%에 불과하다. 체험관 측은 이런 낮은 생존율을 의식해 이번 출산까지 장꽃분의 임신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7-06-1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