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은 ‘채팅방 성폭력’ 왜
동기 사진 올리고 막말·희화화… 女 대상으로 유대감 갖던 男문화SNS 통해 확대… 문제의식 필요
고려대에 이어 서울대 인문대 남학생들도 최근 카카오톡을 통해 성폭력적 발언을 주고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서울대 총학생회 산하 학생·소수자인권위원회(학소위)는 인문대 A반의 남학생 전체 채팅방 성폭력성 발언과 관련해 ‘서울대 인문대학 카톡방 성폭력 고발’이라는 제목의 대자보를 11일 학내 커뮤니티 등에 게시했다.
대자보에 따르면 남학생 8명은 지난해 2월부터 8월까지 카톡방에 같은 반 동기를 몰래 촬영한 사진을 올린 뒤 ‘박고 싶어서’라고 말하는가 하면 배고프다는 말에 ‘XX(동기 여학생 이름) 먹어’라고 발언하는 등 지속적으로 성폭력성 발언을 공유해 왔다.
또 이들은 불특정 다수의 여성을 상대로 “(과외 요청이 들어온) 초등학교 5학년은 로린이(로리타와 어린이의 합성어)라…. 고딩이면 좋은뎅”, “여자가 고프면 신촌주점 가서 따라”, “슴만튀(가슴 만지고 튀기)”, “몸이 좋은 여성들 봉씌먹(봉지 씌우고 먹다)” 등의 표현도 서슴지 않았다. 서울대 관계자는 “해당 사항을 인권센터에서 조사 중이며 조사 결과에 따라 엄정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배은경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여성의 대상화를 통해 남성들끼리 유대감을 만드는 문화적인 행태는 굉장히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며 “이 같은 문화가 팟캐스트, 카카오톡 채팅방 등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증거로 남으면서 확대재생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그간 ‘남자들끼리 문화’에 아무런 문제의식이 없었기 때문에 소셜미디어라는 사생활과 공적인 공간을 오가는 곳에서 일부 남성끼리 술이나 마시고 하던 잘못된 대화가 이뤄졌던 것”이라며 “(남자들의 끼리 문화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공상이나 환상이라 해도 입 밖으로 표출하면 공적인 문제가 된다”며 “법적 문제 이전에 심리적으로 상대에 대한 존중이 없는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지나치게 경쟁적인 사회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공격성 등이 성에 대한 부분으로 표출되는 게 아닌가 싶다”고 설명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6-07-1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