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공항 확장’ 어떻게 나왔나

북적이는 김해공항
북적이는 김해국제공항 청사.연합뉴스
김해공항의 가장 큰 단점은 대형 항공기 이착륙이 어렵다는 것. 현재 활주로는 남북 방향으로 건설돼 있는데 북쪽에는 항공기 이착륙을 방해하는 돗대산(370m)과 신어산(630m)이 버티고 있다. 그래서 조종사들은 북쪽에서 착륙할 때 산악 장애물을 직접 확인하고 주위를 선회한 뒤 착륙하고 있다. 베테랑 조종사들조차 “착륙하기 위해 고도를 낮출 때는 산악 고정 장애물이 매우 위협적이고 신경 쓰인다”고 말할 정도다. 2002년 4월 128명의 사망 사고를 낸 중국 민항기 추락사고도 북쪽 산악 장애물에 부딪히면서 발생했다. 영남권 신공항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된 계기도 이 사고와 무관치 않다.
당시 김해공항의 안전성을 높이고 영남권 수요 증가를 감당하기 위해 확장을 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지만 당시에는 확장의 개념을 기존 활주로 길이를 연장하거나, 기존 활주로와 같은 방향으로 활주로를 추가 건설하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대안 없이 군(軍) 공항을 이전하는 방안도 내놓았다. 그러다 보니 답이 나올 리 없었다. 결국 당시 확장안은 고정 장애물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이유와 군의 반대로 폐기됐다.
대부분 공항은 활주로 방향을 나란히 설계한다. 인천공항이 그렇다. 활주로를 수평 방향으로 설계하면 이착륙 용량이 늘어나고, 공역(장애물이나 항공기 충돌을 피해 운항할 수 있는 공간) 확보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활주로 방향을 주변 고정 장애물이 없는 쪽으로 틀어 설계한 공항도 많다. 중국 베이징 신공항이나 네덜란드 스히폴 공항은 활주로 방향이 다르다.
제주공항도 동서 방향 주 활주로와 방향을 달리하는 비상 활주로를 갖췄다. 활주로 방향을 달리하는 것이 항공기 이착륙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해 신공항 건설안도 기존 확장안에서 벗어나 신설 활주로 방향을 틀면서 가능했다. 신설 활주로를 지금의 활주로에서 서쪽 방향으로 40도 정도 비껴 건설하면 산악과 고속도로 등 고정 장애물을 피할 수 있고, 이착륙 시 양쪽 방향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 것이다. 활주로 방향을 틀어 일이 풀린 것은 이번뿐만이 아니다. 초고층 건물인 서울 잠실롯데월드타워 건축 허가도 서울공항의 활주로 방향을 틀면서 가능했다. 롯데월드타워 건축 허가는 이명박 정부 시절 이뤄졌다. 김해공항 확장 거론 당시 방향을 달리하는 활주로 건설을 좀더 고민했더라면 국론 분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치르지 않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6-06-2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