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10명 중 8명, 회사 우울증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남녀 직장인 1485명을 대상으로 ‘회사 우울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회사 우울증에 시달린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예’라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 82.8%, ‘아니오’는 17.2%로 조사됐다.
기업형태별(교차분석)로 살펴보면 대기업 직장인이 회사우울증에 시달린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88.0%비율로 가장 많았다. 이어 △외국계기업(85.7%) △중소기업(82.2%) △공기업(76.6%) 순이었다.
회사우울증에 시달리는 이유에 대해서는(복수응답) ‘내 자신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비전’이라고 답한 직장인이 전체 응답률 43.2%로 가장 많았다.
이어 △회사에 대한 불확실한 비전(35.1%) △과도한 업무량(24.2%) △상사와의 관계(13.6%) △조직에서 모호한 내 위치(12.8%) △업무에 대한 책임감 때문(11.7%) △업적성과에 따라 이뤄지지 않는 급여, 임금인상(10.9%) △회사생활로 인해 나빠진 건강상태(7.9%) △동료, 부하직원과의 대인관계(7.7%) △다른 회사에 비해 뒤떨어진 복리후생(7.2%) △회사의 성과측정과 평가에 대한 압박감(5.1%) △불공정한 인사고과(4.6%) △승진기회의 부족(1.9%) 등의 순이었다.
회사우울증에 대한 이유는 근무하고 있는 기업형태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외국계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과도한 업무량(34.3%)으로 인해 힘들어 하는 경우가 높았으며, 중소기업과 대기업 직장인은 모두 ‘회사에 대한 불확실한 비전’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또한 공기업과 대기업 직장인들의 경우는 ‘조직에서 모호한 내 위치’로 고민하고 있는 경우가 타 기업 근무 직장인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직장인들이 하고 있는 회사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운동 등 취미생활을 한다는 응답이 21.8%로 가장 높았으나, 근소한 차이로 술이나 담배로 해소한다는 응답도 21.6%로 많았다. 다음으로 △다른 회사로의 이직 준비 18.7% △친구나 가족과 터놓고 대화 17.3% △직장동료와 터놓고 대화 10.0% △업무관련 자기계발을 위해 노력 6.4% 등의 순이었다.
남성 직장인들은 술과 담배로 해소한다는 응답이 27.3%로 가장 높았던 것에 비해, 여성 직장인들은 친구나 가족과 터놓고 대화한다는 응답이 22.7%로 가장 높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