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정무부시장에 하승창 씽크카페 대표 내정

서울시 정무부시장에 하승창 씽크카페 대표 내정

입력 2016-01-15 11:14
수정 2016-01-15 11: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민사회 출신 첫 사례…박원순 2차례 선거 모두 참여

서울시 새 정무부시장에 하승창(56) 씽크카페 대표 겸 아이쿱협동조합지원센터 사외이사가 내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4월 총선 출마를 위해 사임한 임종석 전 정무부시장의 후임으로 하 대표를 내정하고 현재 신원조회에 착수했다고 15일 밝혔다.

하 대표는 2011년과 2014년 서울시장 선거 때 박원순 시장의 캠프에서 총괄기획단장을 지냈다. 민선 6기에도 함께서울정책박람회의 총감독을 맡는 등 박 시장의 정책과 시정 방향을 가장 잘 이해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하 대표는 연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1997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책실장, 2000년 함께하는시민행동 사무처장, 2008년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 2009년 희망과대안 운영위원장 등을 지낸 대표적인 2세대 시민운동가로 꼽힌다.

하 대표는 당초 4월 총선에 비례대표로 출마할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임종석 전 부시장 사임 후 정무부시장 자리를 채우지 못한 서울시의 러브콜을 받고 이를 수락했다.

하 대표가 정식으로 임용되면 박 시장이 시민운동가로는 처음 서울시장에 당선됐듯 시민사회 출신으로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맡는 첫 사례가 된다.

임 전 부시장이 사임한 후 박 시장은 후임을 다각도로 모색해왔다.

보통 정무부시장은 시장 소속 정당에서 발이 넓은 인물을 발탁해 중앙정부, 국회, 시의회와 교류하고 협조를 구하도록 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총선을 앞두고 마땅한 당 인사를 찾기 어렵다는 고충이 있었다.

박 시장이 서울역 고가 공원화 사업과 청년수당 등 굵직한 정책을 추진하면서 전통적인 정무인사보다는 정책 아이디어를 실현해 줄 오래된 파트너를 선택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하 대표는 2012년 대선 때 후보로 나섰던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진심캠프에서 대외협력실장을 지낸 이력도 있다.

이번 인사로 신당을 꾸리는 안 의원과 더불어민주당에 남은 박 시장 간 소통 창구가 마련됐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어린이 대상 의정 교육에서 기획경제위원회 역할 알기 쉽게 소개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2)은 지난 22일 성동구 숭신초등학교에서 진행된 ‘EBS 찾아가는 서울시의회 퀴즈쇼 해통소통 탐험대’ 녹화에 출연해, 초등학생들과 함께 서울시 예산과 경제정책을 주제로 퀴즈를 풀며, 기획경제위원회의 역할을 알기 쉽게 소개했다. ‘해통소통 탐험대’는 서울시의회와 EBS가 공동 기획한 어린이 대상 의정 교육 프로그램으로, 상임위원회별로 1명의 의원이 직접 출연해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퀴즈와 대화를 통해 서울시의회 상임위의 기능을 쉽게 전달하고자 마련된 체험형 의정 프로그램이다. 이날 구 의원은 서울시 예산의 편성과 집행 과정, 정책 우선순위 결정, 투자 및 일자리 창출 등 시정 전반을 조정하는 기획경제위원회의 주요 기능을 설명했다. 특히 서울시의 살림을 어떻게 계획하고 운영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기획경제위원회의 핵심 과제임을 강조하며, 실생활과 연결된 사례를 통해 개념을 쉽게 전달했다. 현장에 함께한 초등학생들은 퀴즈마다 적극적으로 손을 들고 정답을 외치며 열띤 분위기를 만들었고, 구미경 의원은 각 문제에 친절한 해설을 덧붙이며 아이들의 이해를 도왔다. 구 의원은 “예산이나 정책이라는 단어가 어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어린이 대상 의정 교육에서 기획경제위원회 역할 알기 쉽게 소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