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교통안전지원사업 인기
농어촌 교통안전지원사업이 인기를 끌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교통안전공단은 농촌진흥청과의 협업을 통해 교통안전 취약지역인 농촌마을을 선정해 지방도로 안전보행, 경운기·트랙터 등 농기계에 추돌사고와 2차사고 예방을 위한 뒷부분 반사판 부착, 고령자 안전지팡이 배포, 농기계 음주운전 금지 등 사고예방을 위한 홍보·교육활동을 지속적으로 벌이고 있다.
교통안전공단 제공
전남 강진군 군동면 삼신리 비자동마을에서 교통안전지원사업에 참여한 전문가들이 농기계에 반사판을 달아 주고 있다.
교통안전공단 제공
교통안전공단 제공
교통안전 전문가와 경찰관이 함께 참여해 농어촌 지방 도로에 자주 일어나는 보행·횡단사고 예방 교육을 비롯해 농기계 뒷면에 안전반사판 및 형광반사지를 붙이는 행사로 진행된다. 뒷부분 안전반사판 500개, 형광반사지 11롤(1롤당 45m)을 지원했다. 간단한 장치지만 자동차 운전자가 야간에도 농기계가 지나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교통사고 예방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안전한 자전거 사용과 농기계의 주차, 교통사고의 위험성 등 농촌지역과 고령자 맞춤형 교통안전 교육도 동시에 실시하고 있다.
전반기에만 야간 보행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지팡이 500개를 보급한 데 이어 하반기에도 안전반사판 1000개, 형광반사지 50롤, 고령자 안전지팡이 1000개를 지원하고 있다.
김남진 농촌진흥청 사무관은 “일반 자동차에 비해 안전장치가 미흡한 농기계 뒷면에 안전반사판을 부착한 뒤 운전자가 농기계를 쉽게 인식하고 방어운전이 가능해져 사고가 크게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 강진군 군동면 삼신리 비자동마을 윤호경 이장은 “트랙터나 자전거에 반사판을 부착한 뒤부터 날이 어두워도 안심하고 다닐 수 있게 됐다”면서 “좁은 시골길에서 자동차와의 추돌사고 위험이 상당히 높았는데 반사판 덕분에 뒤에 오는 차가 속도를 줄이고 안전운전을 해 효과가 좋다”고 말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12-2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