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硏 ‘임금·생산성 국제비교’
오래 근무할수록 임금이 올라야 하지만 우리나라 근로자 임금은 40대 때 정점을 찍고 나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 희망퇴직이 만연해 정년을 채워 근무하는 장기 근속자를 찾기 어려운 탓으로 풀이된다.2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임금과 생산성 국제비교’ 연구자료에 따르면 근속기간이 1년 미만인 국내 근로자의 임금을 100으로 봤을 때 근속연수가 10~14년인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212.3, 20~29년 근로자는 288.1, 30년 이상 근로자는 328.8이었다.
근로자의 임금 수준만 놓고 본다면 30년 이상 근로자 임금이 169.9에 불과한 유럽연합(EU) 15개국이나 246.4에 그친 일본보다 훨씬 높다.
하지만 연령대별 실제 임금 수준을 비교하면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30세 미만 근로자의 임금을 100으로 봤을 때, 30~39세 한국 근로자의 임금은 151.9, 40~49세 근로자는 174.1이다. 하지만 임금 수준은 50대 이후 급격히 꺾여 50~59세 158.4, 60세 이상 106.2로 주저앉았다.
반면 일본 근로자는 30대(137.3), 40대(172.7), 50대(176.0)까지 임금 상승세가 이어지다 60대(119.4)가 되고서야 임금이 줄었다. 유럽은 30대 140.4, 40대 155.8, 50대 160.8, 60대 165.2로, 60대까지 임금이 쭉 상승했다.
국내 근로자의 평균 근속 기간은 5.6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짧고, 정년퇴직자 비중은 고작 7.6%다. 프랑스(11.4년), 독일(10.7년) 등 유럽 국가의 근속연수는 우리의 2배에 가깝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12-2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