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처 안전감찰 결과…”지자체 의식, 점검결과 비공개”
해수욕장 안전관리 주체가 구(舊) 해경에서 자치단체로 바뀌는 과도기에 정부가 마련한 안전대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해수욕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국민안전처는 이달 6∼10일에 전국 해수욕장 297곳 중 60곳에서 안전관리실태를 점검하고 각 자치단체에 보완할 사항을 전달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점검 결과 안전관리 세부계획을 세우지 않은 해수욕장이 많았고 대체로 훈련도 미흡한 것으로 지적됐다.
안전처의 한 관계자는 “자치단체, 해양경비안전본부, 경찰, 민간 등으로 구성되는 해수욕장협의회가 활성화되지 않은 곳이 상당수”라면서 “기관 간 협의체계가 잘 작동하지 않으니 합동훈련도 부족했다”고 말했다.
또 지자체 예산 부족으로 장비와 구조인력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해수욕장도 적지 않았다.
남해·제주 권역의 일부 해수욕장은 민간안전요원 지원자가 한 명도 없어 필요인력을 지역주민에게 할당해 충원하고 있었다.
안전처는 자치단체와 주민 반발을 의식해 세부적인 점검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안전처는 이달 24일 해양수산부, 경찰청, 자치단체가 참석하는 안전정책조정실무회의를 열어 이번 점검결과를 공유하고, 해수욕장 안전관리 보완대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예비비·재난관리기금으로 우선 부족한 구조장비를 확충하기로 했다.
또 자치단체가 해수욕장협의회 운영을 활성화하고, 해경안전본부는 해수욕장마다 안전지원관을 지정·운영하기로 했다.
최복수 생활안전정책관은 “현재까지 해수욕장에서 큰 안전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피서철이 끝날 때까지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관기관과 협력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