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임금 8천원 공동작업장도 설치
서울시는 서울역지구대 지하보도 내 거리 노숙인을 위한 응급대피소를 상시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서울역 응급대피소는 2012년 11월부터 현재까지 혹한기나 폭염기에만 한시적으로 운영돼 왔다.
응급대피소는 237.5㎡ 규모로 큰방과 작은방으로 나뉘어 있으며 샤워실, 화장실, 강력 환풍기, 냉·난방 장치도 갖췄다.
시는 서울역 일대 거리 노숙인이 지난달 31일을 기준으로 244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서울역 이용객들과의 갈등을 줄이고 노숙인을 보호하기 위해 대피소를 연중 운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시는 특히 혹한기가 끝나고 대피소 운영이 종료되면서 노숙인의 악취, 지하도 내 노상방뇨, 흡연 등에 따른 민원이 급증했다고 밝혔다.
시는 응급대피소를 상시 운영함과 동시에 경찰과 서울역 희망지원센터의 협조를 받아 수시로 일대를 순찰하고 상담활동도 강화할 계획이다. 간경화증, 패혈증 등 중증 질환을 앓는 노숙인도 적극적으로 진료하고 치료비는 전액 무료로 지원한다.
시는 또 응급대피소 내 쉼터 외에 주간에는 쇼핑백 제작 등 부업 일자리를 제공하는 공동작업장을 운영한다.
거리 노숙인 공동작업장은 서울역 응급대피소와 영등포보현의집 응급구호방에서 각각 운영된다. 임금은 하루 평균 8천원 정도다.
강종필 서울시 복지건강본부장은 “시설입소를 거부하며 거리에서 지내는 노숙인들도 응급대피소를 통해 최소한의 도움이라도 받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