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회의 통해 한국 등 발병 상황 보고받아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포 여부 검토
세계보건기구(WHO)가 한국의 메르스 확산 등과 관련해 16일(현지시간) 긴급위원회를 열고 최근 상황이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포 요건에 해당하는지 검토에 들어갔다. WHO의 메르스 관련 긴급위원회는 2013년부터 올 2월까지 모두 8차례 열렸으며 지난달 한국에서 첫 메르스 환자가 발병한 이후 처음 열리는 회의다.WHO는 이날 오스트리아의 크리스 바골레이 교수를 위원장으로 한 제9차 메르스 긴급위원회를 열고 한국 등의 메르스 발병 상황과 대응 조치 등을 보고받았다. 화상회의 형식으로 열린 회의에선 WHO가 한국 정부와 일주일간 메르스 전염 경로 등에 대해 공동조사를 벌인 결과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메르스가 발병한 국가들의 최근 자료 등이 함께 보고됐다.
WHO 관계자는 “최근 메르스 진전 상황을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며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메르스와 관련한 대응 조치 등을 권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WHO는 이튿날인 17일 제9차 메르스 긴급위원회 회의 결과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2월 열렸던 제8차 메르스 긴급위원회는 오스트리아, 오만, 카타르, 사우디, 터키 등이 메르스 관련 최신 자료를 보고했다. 당시 긴급위원회는 메르스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예방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할 정도의 요건은 아직 갖추지 못했다고 결정했다.
하지만 한국에서 150명 넘는 환자가 새롭게 발병하고 수천명이 격리되면서 WHO가 어떤 태도 변화를 보일지 알 수 없게 됐다. 회의에 앞서 타릭 자사레빅 WHO 대변인은 “추가 감염자가 줄어들고 있지만 상황을 계속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8월 열린 WHO의 에볼라 긴급위원회는 서아프리카의 에볼라 발병과 관련해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바 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5-06-1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