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혼인율 역대 최저/ SBS
‘혼인율 역대 최저’
지난해 혼인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혼인건수도 2004년 이후 가장 낮았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가 32.4세, 여자가 29.8세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였다.
통계청은 23일 이런 내용의 ‘2014년 혼인·이혼통계’를 발표했다.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건수는 30만 5500건으로 전년보다 5.4%인 1만 7300건 감소했다. 2004년(30만 8600건)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인구 1000명 당 혼인건수로 국제적인 혼인율 비교수치인 조(粗)혼인율은 6건으로 전년보다 0.4건 줄었다.
이는 1970년 조혼인율 통계를 산출한 1970년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결혼 적령기 인구가 계속해 감소하는 게 가장 큰 요인”이라면서 “미혼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외국인과의 혼인이 감소한 것도 이유”라고 설명했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가 32.4세, 여자가 29.8세로 전년보다 각각 0.2세 올랐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남자는 1.9세, 여자는 2.3세가 많았다.
남자 초혼연령은 2003년 30세를 돌파한 뒤 최근에는 30대 초반으로 완전히 이동한 모양새다.
여성의 경우도 통계청 관계자는 “20대 후반이 줄어들고 30대 초반과 30대 후반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여성 초혼연령은 지역별로 이미 서울(30.7세)과 부산(30.3세), 대구(30세)에서 30세를 넘겼다.
평균 재혼연령도 남자가 47.1세,여자가 43세로 전년보다 각각 0.4세, 0.5세 올라갔다.
초혼비율은 남자가 84.4%, 여자가 82.3%로 전년대비 각각 0.4%포인트, 0.9%포인트 감소했다.
초혼부부 중 여자가 연상이고 남자가 연하인 ‘연상연하 커플’의 비율은 16.2%로 전년보다 0.1%포인트 늘었다.
감소세이던 남자가 연상인 부부의 비율도 전년보다 0.1%포인트 증가한 67.7%였다. 대신 동갑내기 부부의 비율이 16.1%로 0.2%포인트 줄어들었다.
외국인과의 혼인은 2만 3300건으로 전년보다 2600건(10.2%) 줄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