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알바 평균시급 6천42원…아웃바운드TM 가장 높아

서울 알바 평균시급 6천42원…아웃바운드TM 가장 높아

입력 2015-03-12 07:55
수정 2015-03-12 07: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 지난해 하반기 아르바이트 채용공고 분석결과 발표

작년 하반기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평균 시급은 6천42원이었고 가장 시급이 높은 업종은 아웃바운드 TM(직접 전화 마케팅)이었다.

서울시는 알바천국, 한국노동사회연구소와 함께 하반기 알바천국 사이트에 등록된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채용공고 104개 업종, 77만 6천501건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12일 이같이 밝혔다.

시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평균 시급은 6천42원으로 작년 상반기 5천890원보다 152원, 2013년 하반기 5천653원보다는 389원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강남권역(11개 자치구) 평균 시급이 6천66원으로 강북권역(14개 자치구) 평균 시급 6천23원보다 다소 높았다.

구별로는 서대문구가 6천419원으로 시급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 영등포구 6천303원, 동대문구 6천268원, 구로구 6천228원, 강남구 6천174원이었다.

업종별로는 음식점이 채용공고수가 가장 많았고 가장 시급이 높은 업종은 아웃 바운드 TM이었다.

아르바이트 최다 모집 업종은 음식점으로 6개월간 총 10만 8천780건(14.9%)의 공고를 냈고 이어 편의점(9만 4천103건, 12.9%), 패스트푸드점(6만 6천860건, 9.2%), 일반주점·호프(6만 1천720건, 8.5%) 등 순이었다.

시급이 가장 높은 업종은 아웃바운드TM으로 평균 시급이 9천243원이었고 그 다음은 영업·마케팅(9천150원), 고객상담(8천421원), 영화·공연·전시(7천753원), 전화주문·접수(7천730원) 등이었다.

모집 연령은 20∼24세 85.1%(44만 572건), 15∼19세 9.3%(4만 8천141건), 25∼29세 3.5%(1만 8천215건) 등으로 청년층의 비율이 97.9%로 가장 높았다.

시는 “이번 분석 결과를 기초로 아르바이트 고용기업·사업주 단체와 함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캠페인, 아르바이트 현장 모니터링 강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청년의 근로환경을 향상시키고 사회 인식개선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서준오 서울시의원, 공릉1단지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직접 참여

서울시의회 서준오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4)이 지난 25일 SH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의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첫 대상지인 노원구 공릉1단지아파트를 찾아 저장강박 의심세대 거주환경 개선과 특별 소독에 직접 참여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공릉1단지 임대단지 내 일부 저장강박 의심세대로 인하여, 인접 거주 세대 및 공용공간 위생이 불량해진다는 민원이 다수 발생함에 따라 SH공사에서 예산을 투입하여 진행했다. 공릉1동 주민센터 및 지역사회 자원봉사자 약 15명과 함께 서준오 의원, 그리고 공릉동을 지역구로 둔 오금란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2)이 구슬땀을 흘렸다.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공릉1단지 아파트는 1994년 12월에 입주한 총 1395세대가 거주하는 SH공사의 영구임대 아파트이다. 지어진 지 30년이 되어 주거환경이 열악한 상태인 탓도 있지만, 일부 저장강박 의심세대의 세대 내 과다한 적치물과 소독거부로 인한 해충 발생, 번식이 주변 주민들을 힘들게 하고 있었다. 서 의원은 매주 일요일, 우원식 국회의장(서울노원구갑)과 함께 노원구 3곳에서 현장민원실을 운영 중인데, 공릉1단지 방역이 필요하다는 민원도 여기에서 접수되었다. 유사한 민원이 지속
thumbnail - 서준오 서울시의원, 공릉1단지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직접 참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