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400명 청구내역 증발… ‘불안’ 행자부 “480여개 기관 연계된 탓”
서울의 한 구청에서 정보공개 업무를 담당하는 A씨는 지난달 16일 업무를 전혀 처리할 수 없었다. 처음엔 ‘정보공개포털’의 공무원 창구에 로그인이 되지 않았다. 몇 시간 뒤 간신히 로그인이 됐지만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화면상의 버튼을 클릭하면 어김없이 오류 창이 떴다. 결재를 받은 청구건도 결정통지를 할 수 없었다. 새로 들어온 청구를 해당 부서로 넘길 수도 없었다. 2주를 꽉 채운 지난 2일이 돼서야 어느 정도 업무를 처리할 만큼 오류가 줄어들었다.최근 2주 동안 기능장애를 일으켜 일부 기관의 업무를 마비시켰던 ‘대한민국 정보공개포털’이 3일도 오류가 발생하는 등 안정화가 끝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정보공개 서비스는 공공정보를 적극 개방하고 공유하겠다는 박근혜 정부의 이른바 ‘정부 3.0’의 주요 축이다. 지난해 정보공개포털을 통해 약 35만건의 정보공개 청구가 처리됐다. 정보공개포털은 지난 1월부터 정보 원문공개와 사전정보공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편을 시작했고 지난달 13일부터 다양한 웹브라우저에서 작동되게 하는 등 기능을 개선했다.
행정자치부는 이번 개편에 약 15억원을 투입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회원 약 400명의 청구 내역이 통째로 사라졌다가 지난 2일에야 복구됐고<서울신문 3월 3일자 11면> 앞서 지난달 23일에는 대구의 시민단체인 우리복지시민연합 계정으로 다른 시민단체들이 청구했던 6만여건의 자료가 유입되는 사고도 일어났다.
행자부 관계자는 “사이트를 전환하면서 수백개의 기관 중 네트워크, PC 등 환경에 따라 일부 기관에서 오류가 일어났을 수 있다”며 “사이트가 대표 공공기관 480여개, 공공기관 900여개의 사이트와 연결돼 있어 여타 사이트보다 훨씬 복잡하고 정교한 보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진임 정보공개센터 사무국장은 “정부3.0 사업이 공개하는 정보의 양에만 신경쓰는 것 같다”면서 “정보 공유를 어떻게 편리하게 구현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5-03-0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