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화재 피해 주민들이 24일 경기도 의정부시청 앞에 모여 시의 행정처리를 비판하고 임시 숙소 운영기간 연장 등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피해 주민 20여 명은 집회에서 “아직 전세금을 구하지 못한 피해 주민이 많다”며 “주거 대책은 쉽게 마련되기 어려운 만큼 적어도 화재가 난 지 3개월이 되는 4월 10일까지라도 임시 숙소 운영을 연장해 달라”고 요구했다.
군 시설인 306보충대에 설치된 피해 주민 임시 거처는 원래 2월 28일까지 운영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시는 주민 요청에 따라 3월 31일까지 연장 운영키로 한 바 있다.
이와 관련, 피해 주민들은 “시 당국이 당초 연장 운영 요청에 미온적으로 대응하다 우리가 강력 항의하고 언론이 보도하자 3월 말까지 연장키로 했다”며 집회를 통해 열흘 추가 연장을 요구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또 일부 화재 피해 건물의 건축주가 집기류 등을 피해 주민들과 상의 없이 철거하는 것을 방치하고, 모금된 성금을 지급할 때 피해주민들에게 공지를 늦게 하는 등 시의 행정이 허술하다고 비판했다.
임시 숙소에 등록한 피해 주민은 110여 명이지만 실제로는 20여 명 정도 생활하고 있다.
연합뉴스
피해 주민 20여 명은 집회에서 “아직 전세금을 구하지 못한 피해 주민이 많다”며 “주거 대책은 쉽게 마련되기 어려운 만큼 적어도 화재가 난 지 3개월이 되는 4월 10일까지라도 임시 숙소 운영을 연장해 달라”고 요구했다.
군 시설인 306보충대에 설치된 피해 주민 임시 거처는 원래 2월 28일까지 운영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시는 주민 요청에 따라 3월 31일까지 연장 운영키로 한 바 있다.
이와 관련, 피해 주민들은 “시 당국이 당초 연장 운영 요청에 미온적으로 대응하다 우리가 강력 항의하고 언론이 보도하자 3월 말까지 연장키로 했다”며 집회를 통해 열흘 추가 연장을 요구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또 일부 화재 피해 건물의 건축주가 집기류 등을 피해 주민들과 상의 없이 철거하는 것을 방치하고, 모금된 성금을 지급할 때 피해주민들에게 공지를 늦게 하는 등 시의 행정이 허술하다고 비판했다.
임시 숙소에 등록한 피해 주민은 110여 명이지만 실제로는 20여 명 정도 생활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