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과 빵 나눌 때, 재소자들 마음 열렸죠”

“남들과 빵 나눌 때, 재소자들 마음 열렸죠”

입력 2014-10-27 00:00
수정 2014-10-27 04: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년원·교도소서 제빵 가르쳐 온 석영준 기능장

“처음엔 눈도 안 마주치려고 합니다. ‘네가 뭔데 날 가르치려느냐’는 거죠. 그런데 빵을 만들면서부터 눈빛이 달라졌어요.”

이미지 확대
석영준 기능장
석영준 기능장
‘교정의 날’(28일)을 앞두고 충북 청주여자교도소에서 제과·제빵을 가르치는 직업훈련교사 석영준(45)씨는 26일 “빵을 만드는 일은 ‘나눔’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이곳 재소자 20여명은 하루 7시간씩 1주일에 5일씩 빵 만드는 기술을 배우고 있다. 출소 후 자립하기 위해서다. 1년 과정을 모두 마치면 제빵기능사 자격증 시험에 응시하게 된다. 일반인 합격률이 40~50%에 지나지 않는 데 비해 이곳의 합격률은 95%에 이른다.

제과·제빵의 최고 자격증인 제과기능장 석씨는 국내 유일의 제과·제빵 전문학교인 한국제과학교에서 20년 가까이 제빵인을 양성했다. 후진 양성을 계속하면서도 보람된 일을 찾던 석씨는 2011년 5월 한국제과학교를 그만두고 부산소년원에서 직업훈련교사로 새 출발을 했다. 그는 “온몸에 문신이 그득하고 적대적인 눈빛을 쏘아대는 10대들과 친해지는 일이 쉽지만은 않았다”고 털어놓았다.

좀처럼 마음을 열지 않던 학생들의 얼굴이 밝아지기 시작한 것은 직접 만든 빵을 한 달에 네 번 정도 보육원이나 장애인 시설에 보내는 일을 하면서부터다. 석씨는 “소년원에 있는 친구들 대부분이 결손 가정이거나 형편이 어려워 나눔에 대한 경험이 부족했다”며 “빵을 만드는 일이 이들에게 나눔의 즐거움을 깨닫게 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몇몇 학생은 출소 뒤 석씨의 도움으로 제과점 일을 시작했다. 석씨는 “어머니와 동생 둘을 뒷바라지하는 한 친구가 여기서 배운 기술로 빵집에서 파트장까지 맡게 됐을 때 보람을 느꼈다”며 “얼마 전에는 특전사에 입대한다고 연락 왔다”며 활짝 웃었다.

지난해 9월부터 청주여자교도소로 옮긴 석씨는 “재소자 중에는 관심을 갖고 열심히 하려는 사람이 많지만 막상 출소한 뒤에는 사회적 편견에 부딪혀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깝다”며 “지속적인 사회의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10-2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