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혼 이혼 역대 최다
새로 결혼하는 사람은 줄어드는데 수십년 같이 살다가 갈라서는 노부부는 계속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대법원이 발간한 ‘2014 사법연감’에 따르면 작년 결혼 20년차 이상 부부의 이른바 ‘황혼 이혼’ 사건은 3만 2433건이었다.
역대 최다 기록이다.
2009년 2만 8261건이었던 황혼 이혼은 2010년 2만 7823건, 2011년 2만 8299건, 2012년 3만 234건 등으로 매년 증가해왔다.
황혼 이혼이 전체 이혼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최근 5년 동안 22.8%에서 28.1%로 6%포인트 가까이 뛰었다.
반면 결혼 5년차 미만 부부의 ‘신혼 이혼’ 사건은 작년 2만 7299건으로 황혼 이혼보다 적었다.
신혼 이혼은 2009년 3만 3718건, 2010년 3만 1528건, 2011년 3만 689건, 2012년 2만 8204건 등 황혼 이혼과 반대로 매년 감소해왔다.
전체 이혼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최근 5년 동안 27.2%에서 23.7%로 눈에 띄게 떨어져 역대 최저 수준이다.
새로 결혼하는 사람이 줄면서 신혼 이혼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작년 기초자치단체에 접수된 혼인 신고는 32만 5016건으로 2012년 32만 9220건에 비해 1.3% 줄었다. 2011년 33만 1543건에서 3년째 감소세다.
같은 기간 이혼 신고가 11만 4707건에서 11만 5725건으로 3년 연속 증가세를 나타낸 것과 대조된다.
최근 이혼 소송은 상소율이 전보다 높아졌다. 대법원까지 가서 끝까지 다퉈보자는 부부가 많아졌다.
작년 이혼 소송의 항소심 접수건수는 2749건으로 2004년 1436건의 2배 수준이 됐다. 상고심 접수건수는 537건으로 10년 전 259건의 2배를 넘었다.
같은 기간 1심 접수건수가 4만 5449건에서 5만 1621건으로 증가한 데 그친 것과 차이가 있다.
이혼 사유로는 성격 차이가 47.2%로 가장 많았다. 경제 문제(12.7%), 가족 간 불화(7.0%), 정신적·육체적 학대(4.2%) 등이 뒤를 이었다.
네티즌들은 “황혼 이혼 역대 최다,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이혼을 많이 한다는 건가”, “황혼 이혼 역대 최다, 어떻게 이런 일이”, “황혼 이혼 역대 최다, 중노년 이혼 이건 정말 문제인데”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