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아버지처럼 터키·한국 가교 역할 하고파”

“할아버지처럼 터키·한국 가교 역할 하고파”

입력 2014-06-24 00:00
수정 2014-06-24 03: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대 국제관계학 석사 마친 사르펠

“할아버지가 그랬던 것처럼 터키와 한국의 가교 역할을 하고 싶습니다.”

터키의 6·25전쟁 참전용사 후손인 제일린 사르펠(29·여)은 23일 인터뷰에서 “할아버지 덕에 한국을 만나게 됐고, 이젠 나도 이 땅에 살면서 한국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가며 그들을 돕고 싶다”고 말했다.

6·25전쟁 때 터키 군의관으로 참전했던 할아버지의 영향으로 한국에 온 제일린 사르펠이 환하게 웃고 있다.
6·25전쟁 때 터키 군의관으로 참전했던 할아버지의 영향으로 한국에 온 제일린 사르펠이 환하게 웃고 있다.
할아버지 누리 사르펠(82)이 6·25전쟁 당시 군의관으로 참전했던 인연으로 한국에 온 지 어느덧 4년째, 제일린은 이번 달 한국외대에서 국제관계학 석사과정을 마치고, 한국 사회의 일원이 될 준비를 하고 있다.

할아버지는 1951~54년 부산 등 전국 곳곳을 돌아다니며 군의관으로 활동했다. 제일린은 “할아버지는 다친 사람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달려가고 싶어 하는 분이었다고 들었다”면서 “사람들을 치료했을 뿐 아니라 밥과 옷도 나눠주고 어린 아이들에게는 터키어와 한국어까지 가르쳤다”고 전했다.

한국을 남달리 사랑했던 할아버지의 영향으로 제일린도 어릴 때부터 한국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할아버지 때문이기도 했지만 ‘해신’, ‘궁’ 등 한국 드라마를 보고 호기심이 더욱 커졌다”며 웃었다. 터키에서 셀쿡대학에서 농업과학을 전공하고 건축 회사에 취직까지 했던 터라 유학 결정이 쉽진 않았지만, 한국전쟁기념재단 장학생으로 뽑혀 기회를 잡았다. 그는 “부모님을 설득하는 것이 힘들었지만, 한국에 꼭 오고 싶었기 때문에 몇 날 며칠을 졸랐다”면서 “어렵게 허락을 받고 한국 땅을 처음 밟았을 땐 정말 꿈만 같았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낯선 곳에서의 유학 생활이 쉽지는 않았다. 제일린은 “처음 왔을 때 아는 한국말이 ‘안녕하세요, 이름이 뭐예요?’ 밖에 없었다”면서 “한국 친구들이 친절하게 가르쳐 주지 않았다면 석사과정을 마치지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참전용사 후손이라고 하면 모두 ‘감사합니다, 할아버지 덕분에 우리가 살고 있어요!’라고 말해줘 나도 고마웠다”고도 했다.

“대사관 등에서 외교 관련한 업무를 하고 싶다”는 제일린은 “형제의 나라인 터키와 한국이 모두 외교적으로 강한 나라가 되도록 기여하는 것이 꿈”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2012년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갔을 때 전쟁으로 희생당한 사람들을 생각하며 눈물을 흘렸다”면서 “할아버지가 늘 말씀하셨듯이 이 땅에서 더는 전쟁으로 피 흘리는 사람들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4-06-2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