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김광진 의원, 전체의 6.6%가 불발…회수에 매일 1천400명 동원
세월호 침몰 사고 수습 과정에서 사용한 조명탄 중 터지지 않은 불발탄의 90% 이상이 생산한 지 20년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은 16일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세월호 투입 야간조명탄 현황(4.16∼5.26)’을 분석한 결과 사용한 1만837발(예산 168억) 중 715발(예산 11억)이 불발탄이었다고 밝혔다.
불발탄 가운데 74.5%(533발)가 침몰사고 초기(4.16∼4.26)에 발생했다.
또 생산일 기준(1986년-1994년)으로 20년 이상된 불발탄이 643발로 총 불발탄의 89.9%에 달했다.
생산 연도에 따른 사용량과 불발률을 보면 1986년산은 15발 중 2발(13.3%), 1987년산은 30발 중 0발(0%), 1989년산 16발 중 3발(18.8%), 1990년산 4천431발 중 342발(7.7%)이었다.
또 1991년산은 1천317발 중 111발(8.4%), 1992년산 1천483발 중 184발(12.8%), 1993년산 20발 중 1발(5%), 1994년산 230발 중 0발(0%), 2000년산 2천154발 중 46발(2.1%), 2001년산 713발 중 4발(0.6%), 2003년산 87발 중 0발(0%), 2009년산 386발 중 22발(5.7%) 등이다.
불발탄으로 국방부 예산(11억원)은 세월호 사고수습을 위해 투입한 웬만한 부처(경찰청 9억7천만원, 법무부 6억7천만원, 방위사업청 6억5천만원, 소방방재청 5억2천만원 등) 예산보다 많았다.
불발된 조명탄 수색과 탄피류 회수를 위해 전남 진도, 완도, 해남, 고흥 일대 육상과 도서 지역에 군 장병 600명 등 민·관·군 1천400여명이 투입되고 있다.
김 의원은 “불발탄으로 산불 등 2차 피해 뿐만 아니라 10억이 넘는 거액과 매일 1천여명 이상의 인력이 낭비되고 있다”며 “특히 사고 초기에 오래된 제품이 집중적으로 사용된 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히 해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