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선거에서 유권자들이 정당만 보고 이른바 ‘묻지마 투표’를 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무소속 당선인이 대폭 줄고, 정당 공천을 받아 출마한 인물들이 대거 당선됐기 때문이다.
16개 구·군 단체장 선거에서는 무소속 오규석 군수가 재선에 성공한 기장군을 제외한 전 지역을 새누리당이 싹쓸이했다.
전·현직 단체장 3명이 새누리당 공천에 반발, 무소속으로 도전장을 냈지만 역부족이었다.
2010년 선거 때 무소속 당선인이 3명이었던 것과 대조된다.
42명을 선출하는 지역구 시의원 선거도 새누리당이 모두 쓸어담았다.
지난 선거에서는 무소속 당선인이 5명이었고, 이번에도 지역에서 비중 있는 인물들이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쓴잔을 마셨다.
158명을 뽑는 구·군의원 선거에서는 정당투표 성향이 더 뚜렷했고,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들의 약진이 눈에 띄었다.
2010년에는 새누리당(당시 한나라당) 당선인 93명, 새정치연합(당시 민주당) 당선인 28명,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당선인이 각각 9명과 3명이었다.
이 틈에 친박연합 당선인 2명과 미래연합 당선인 1명이 끼어 있었고, 무소속 당선인도 20명이나 됐다.
그러나 이번에는 새누리당 당선인 92명, 새정치연합 당선인 58명, 통합진보당 당선인 1명, 무소속 당선인 7명으로 재편됐다.
당선인을 낸 정당이 6개에서 3개로 압축됐고, 새정치연합 당선인이 무려 30명이나 늘어나면서 무소속 당선인이 14명 줄어든 것이다.
북구의회는 부산에서 20년 만에 처음으로 새정치연합 의원이 과반을 차지하게 됐다.
지역구 당선인 11명 가운데 6명이 새정치연합 소속이고, 새누리당 소속은 5명에 그쳤으며 비례대표 의원 2석은 양당이 하나씩 나눠갖기 때문이다.
이처럼 여야 정당이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선거를 휩쓴 것은 초박빙 승부를 펼친 부산시장 선거에 유권자들의 관심이 쏠렸기 때문이라는 게 지역 정가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부산시장 선거로 유권자들이 다른 선거에 신경을 쓰지 못했는데 후보가 난립하자 공약 등을 살펴보지 않고 ‘묻지마식 정당투표’를 했다는 것이다.
지방의원 당선인 가운데는 눈에 띄는 인물도 다수 있었다.
사하구 1선거구의 새누리당 최영진 당선인은 최경석 전 초대 부산시의원의 장남이어서 2대가 틈을 두고 잇따라 시의원이 된다.
해운대구 가선거구 구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한병철 후보가 축배를 들어 국내 첫 변호사 기초의원이 됐다.
해운대구 다선거구 구의원 선거에서는 영화 ‘변호인’에 등장하는 국밥집 아들의 실재 인물 3명 가운데 1명인 새정치연합 박욱영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연합뉴스
무소속 당선인이 대폭 줄고, 정당 공천을 받아 출마한 인물들이 대거 당선됐기 때문이다.
16개 구·군 단체장 선거에서는 무소속 오규석 군수가 재선에 성공한 기장군을 제외한 전 지역을 새누리당이 싹쓸이했다.
전·현직 단체장 3명이 새누리당 공천에 반발, 무소속으로 도전장을 냈지만 역부족이었다.
2010년 선거 때 무소속 당선인이 3명이었던 것과 대조된다.
42명을 선출하는 지역구 시의원 선거도 새누리당이 모두 쓸어담았다.
지난 선거에서는 무소속 당선인이 5명이었고, 이번에도 지역에서 비중 있는 인물들이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쓴잔을 마셨다.
158명을 뽑는 구·군의원 선거에서는 정당투표 성향이 더 뚜렷했고,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들의 약진이 눈에 띄었다.
2010년에는 새누리당(당시 한나라당) 당선인 93명, 새정치연합(당시 민주당) 당선인 28명,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당선인이 각각 9명과 3명이었다.
이 틈에 친박연합 당선인 2명과 미래연합 당선인 1명이 끼어 있었고, 무소속 당선인도 20명이나 됐다.
그러나 이번에는 새누리당 당선인 92명, 새정치연합 당선인 58명, 통합진보당 당선인 1명, 무소속 당선인 7명으로 재편됐다.
당선인을 낸 정당이 6개에서 3개로 압축됐고, 새정치연합 당선인이 무려 30명이나 늘어나면서 무소속 당선인이 14명 줄어든 것이다.
북구의회는 부산에서 20년 만에 처음으로 새정치연합 의원이 과반을 차지하게 됐다.
지역구 당선인 11명 가운데 6명이 새정치연합 소속이고, 새누리당 소속은 5명에 그쳤으며 비례대표 의원 2석은 양당이 하나씩 나눠갖기 때문이다.
이처럼 여야 정당이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선거를 휩쓴 것은 초박빙 승부를 펼친 부산시장 선거에 유권자들의 관심이 쏠렸기 때문이라는 게 지역 정가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부산시장 선거로 유권자들이 다른 선거에 신경을 쓰지 못했는데 후보가 난립하자 공약 등을 살펴보지 않고 ‘묻지마식 정당투표’를 했다는 것이다.
지방의원 당선인 가운데는 눈에 띄는 인물도 다수 있었다.
사하구 1선거구의 새누리당 최영진 당선인은 최경석 전 초대 부산시의원의 장남이어서 2대가 틈을 두고 잇따라 시의원이 된다.
해운대구 가선거구 구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한병철 후보가 축배를 들어 국내 첫 변호사 기초의원이 됐다.
해운대구 다선거구 구의원 선거에서는 영화 ‘변호인’에 등장하는 국밥집 아들의 실재 인물 3명 가운데 1명인 새정치연합 박욱영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