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훈국제중 입시비리 사건 수사가 16일 검찰 공식 발표로 일단락됐다.
지난 5월20일 검찰이 서울시교육청의 영훈국제중 감사 결과를 토대로 수사를 시작한 지 약 2개월 만이다.
서울북부지검 형사6부(신성식 부장검사) 이날 성적 조작을 지시하고 추가 입학 대가로 학부모 5명에게서 1억원을 받은 혐의(업무방해·배임수재)로 김하주(80) 영훈학원 이사장을 구속기소했다. 김 이사장은 횡령·사기 혐의도 받고 있다.
또 검찰은 성적 조작에 관여한 영훈국제중 교무부장 김모(39)씨 등 학교 관계자 7명을 불구속 기소하고 돈을 준 학부모와 학교 시설 공사를 부당하게 수의 계약한 무허가 건설업자 등 모두 9명을 약식기소했다.
영훈국제중의 입시비리 의혹은 지난 1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아들(13)이 이 학교 사회적배려자 전형에 합격한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불거졌다.
이 부회장의 아들은 2013학년도 이 학교 신입생 모집에서 한부모가정 자녀 자격으로 사배자 전형에 지원해 최종 합격했다.
이 부회장의 아들은 2009년 이 부회장과 임세령 대상그룹 상무가 이혼함에 따라 한부모가정 자녀에 해당해 사배자 전형에 지원할 수 있었다.
이후 영훈국제중을 둘러싼 논란은 잠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지만 지난 3월 한 학부모가 “자녀가 일반전형에 응시했다 떨어졌는데 학교발전기금 명목으로 2천만원을 요구해 돈을 줬다”고 폭로하면서 재개됐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3월8일부터 영훈국제중의 입시비리 의혹에 대한 감사에 착수했고 5월20일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김 이사장 등 학교 관계자 11명을 업무방해·배임수재 등의 혐의로 서울북부지검에 고발했다.
검찰은 합동수사팀을 꾸려 영훈국제중 입시비리 사건 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수사 시작 8일 만인 5월28일 영훈국제중과 영훈초·고교, 영훈학원 사무실, 김 이사장의 자택 등 16곳을 압수수색했다.
또 이날 김 이사장의 지시로 학부모에게서 돈을 받아 전달한 영훈국제중 행정실장 임모(54)씨를 체포했다.
이 부회장은 검찰의 수사 착수로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자 5월29일 학교 측에 아들의 자퇴 의사를 통보하고 다음날 “아들의 학교 문제로 물의를 빚어 죄송하다”는 내용의 사과문을 발표했다.
5월31일 임씨를 구속해 수사를 벌이던 검찰은 “김 이사장의 지시로 돈을 받아 전달했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6월14일 임씨를 재판에 넘겼다.
또 2013학년도 입시에서 성적조작을 주도한 영훈국제중 교감 김모(54)씨와 2009∼2010년 학부모에게서 추가 입학 대가로 돈을 받은 영훈국제중 전 교감 정모(57)씨 등 학교 관계자, 학부모 등을 소환하는 등 수사에 박차를 가했다.
소환 조사를 받은 학부모 중에는 이 부회장의 전 부인 임씨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기간 두 차례 검찰 조사를 받은 영훈국제중 교감 김씨는 지난달 16일 “책임질 사람은 책임져야 한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긴 채 학교 현관 난간에 목을 매 자살하기도 했다.
검찰은 가장 윗선에서 성적 조작을 지시하고 임씨를 통해 학부모의 돈을 건네받은 김 이사장을 6월25일 첫 소환 조사했다.
김 이사장은 15시간에 걸쳐 조사를 받고 26일 새벽 귀가했다. 검찰은 이날 바로 김 이사장에 대한 구속 영장을 청구했다.
김 이사장은 27일 예정이던 영장실질심사를 한 차례 연기하고 지난 7월2일 병원 간이침대를 타고 법정에 출석했다. 김 이사장은 실질심사에서 혐의를 대부분 부인했으나 결국 구속 수감됐고 16일 기소됐다.
연합뉴스
지난 5월20일 검찰이 서울시교육청의 영훈국제중 감사 결과를 토대로 수사를 시작한 지 약 2개월 만이다.
서울북부지검 형사6부(신성식 부장검사) 이날 성적 조작을 지시하고 추가 입학 대가로 학부모 5명에게서 1억원을 받은 혐의(업무방해·배임수재)로 김하주(80) 영훈학원 이사장을 구속기소했다. 김 이사장은 횡령·사기 혐의도 받고 있다.
또 검찰은 성적 조작에 관여한 영훈국제중 교무부장 김모(39)씨 등 학교 관계자 7명을 불구속 기소하고 돈을 준 학부모와 학교 시설 공사를 부당하게 수의 계약한 무허가 건설업자 등 모두 9명을 약식기소했다.
영훈국제중의 입시비리 의혹은 지난 1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아들(13)이 이 학교 사회적배려자 전형에 합격한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불거졌다.
이 부회장의 아들은 2013학년도 이 학교 신입생 모집에서 한부모가정 자녀 자격으로 사배자 전형에 지원해 최종 합격했다.
이 부회장의 아들은 2009년 이 부회장과 임세령 대상그룹 상무가 이혼함에 따라 한부모가정 자녀에 해당해 사배자 전형에 지원할 수 있었다.
이후 영훈국제중을 둘러싼 논란은 잠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지만 지난 3월 한 학부모가 “자녀가 일반전형에 응시했다 떨어졌는데 학교발전기금 명목으로 2천만원을 요구해 돈을 줬다”고 폭로하면서 재개됐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3월8일부터 영훈국제중의 입시비리 의혹에 대한 감사에 착수했고 5월20일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김 이사장 등 학교 관계자 11명을 업무방해·배임수재 등의 혐의로 서울북부지검에 고발했다.
검찰은 합동수사팀을 꾸려 영훈국제중 입시비리 사건 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수사 시작 8일 만인 5월28일 영훈국제중과 영훈초·고교, 영훈학원 사무실, 김 이사장의 자택 등 16곳을 압수수색했다.
또 이날 김 이사장의 지시로 학부모에게서 돈을 받아 전달한 영훈국제중 행정실장 임모(54)씨를 체포했다.
이 부회장은 검찰의 수사 착수로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자 5월29일 학교 측에 아들의 자퇴 의사를 통보하고 다음날 “아들의 학교 문제로 물의를 빚어 죄송하다”는 내용의 사과문을 발표했다.
5월31일 임씨를 구속해 수사를 벌이던 검찰은 “김 이사장의 지시로 돈을 받아 전달했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6월14일 임씨를 재판에 넘겼다.
또 2013학년도 입시에서 성적조작을 주도한 영훈국제중 교감 김모(54)씨와 2009∼2010년 학부모에게서 추가 입학 대가로 돈을 받은 영훈국제중 전 교감 정모(57)씨 등 학교 관계자, 학부모 등을 소환하는 등 수사에 박차를 가했다.
소환 조사를 받은 학부모 중에는 이 부회장의 전 부인 임씨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기간 두 차례 검찰 조사를 받은 영훈국제중 교감 김씨는 지난달 16일 “책임질 사람은 책임져야 한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긴 채 학교 현관 난간에 목을 매 자살하기도 했다.
검찰은 가장 윗선에서 성적 조작을 지시하고 임씨를 통해 학부모의 돈을 건네받은 김 이사장을 6월25일 첫 소환 조사했다.
김 이사장은 15시간에 걸쳐 조사를 받고 26일 새벽 귀가했다. 검찰은 이날 바로 김 이사장에 대한 구속 영장을 청구했다.
김 이사장은 27일 예정이던 영장실질심사를 한 차례 연기하고 지난 7월2일 병원 간이침대를 타고 법정에 출석했다. 김 이사장은 실질심사에서 혐의를 대부분 부인했으나 결국 구속 수감됐고 16일 기소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