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한 남방큰돌고래 야생무리에 합류

이탈한 남방큰돌고래 야생무리에 합류

입력 2013-06-28 00:00
수정 2013-06-28 10: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22일 제주 서귀포시 성산항 임시 가두리를 이탈한 남방큰돌고래 ‘D-38’이 야생 돌고래 무리에 합류한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동물자유연대와 제주대 연구팀 등에 따르면 ‘D-38’이 27일 오후 2∼3시께 서귀포시 대정읍 모슬포 인근 바다에서 남방큰돌고래 30여마리의 무리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연구팀의 카메라에 포착됐다.

제주대 연구팀은 당일 오후 5∼6시께 바다에서 촬영한 영상과 사진을 분석한 결과 지느러미 형태와 혈관 줄기, 몸에 난 상처자국 등을 통해 돌고래무리에 있는 한 돌고래가 ‘D-38’임을 최종 확인했다.

이 돌고래 무리는 지난 23일 연구팀이 ‘D-38’의 행방을 찾는 과정에서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토끼섬 부근에서 발견한 남방큰돌고래 무리와 같은 무리였다.

돌고래들은 100㎞ 이상을 헤엄쳐 정반대의 모슬포까지 이동한 것이다.

제주대 연구팀은 “D-38이 야생 남방큰돌고래 무리에 성공적으로 합류한 것으로 보인다”며 “외관상으로도 건강에 이상이 없이 야생에 잘 적응한 것 같다”고 말했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많은 우려를 했었는데 무리에 합류한 D-38을 확인할 수 있어 감격스럽다”며 “오랫동안 쇼를 했던 돌고래들도 충분히 적응훈련을 통해 야생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됐고 다른 쇼돌고래들에게 희망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돌이와 춘삼이 등 앞으로 방류될 남방큰돌고래들은 26일 최종 야생 적응 훈련지인 제주시 김녕리 가두리 양식장으로 옮겨져 훈련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