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만화 ‘고바우 영감’ 원화.
경기도 부천시 산하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은 문화재청이 7일 심의위원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8일 밝혔다.
’토끼와 원숭이’는 아동문학가 마해송의 원작을 고 김용환 작가가 만화로 옮긴 것으로 1946년 5월 1일 간행된 단행본이다. 의인화된 동물들을 통해 일제의 부당한 식민지 통치를 풍자적으로 고발하고 자주독립 국가에 대한 염원을 비유와 상징으로 담았다.
고 김종래 작가의 ‘엄마찾아 삼만리’는 1958년 발표된 고전 사극 만화로 1964년까지 10판까지 출간됐을 정도로 대중에게 감동을 주었다. 한국전쟁 전후의 피폐한 사회상과 부패상을 조선시대에 빗대 고발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들 작품의 원본은 만화영상원에 보관돼 있다.
김성환 화백의 ‘고바우영감’은 1950년부터 ‘사병만화’에 처음 수록된 이후 1955년 이후에는 동아·조선·문화일보 등에 연재됐으며 총 1만4천139회의 연재기록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 최장수 시사만화로 현대사연구에 학술적·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등록문화재는 비지정문화재 가운데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돼 지정되며 보존과 활용에 중점을 둬 관리된다. 반면 지정문화재는 엄격한 보호 규제를 바탕으로 보존에 역점을 둔다.
만화영상원은 이들 작품을 국민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영인본을 제작할 예정이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한 관계자는 “이번 등록은 만화가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만화의 발전과 저변확대를 위해 작가 지원, 귀중 작품 발굴, 우수 만화 추가 문화재등록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