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절판본 모으는 박균호 교사
새 책의 유통기한은 요구르트보다 짧다고 했던가. 엄청나게 많은 책들이 독자의 선택을 기다리다 절판으로 그 몫을 다한다. 베스트셀러나 작가 명성에 미혹돼 서가(書架)의 먼지만 뒤집어쓰다 버려지는 책들이 있는가 하면 독자가 진가를 알아보기 전에 출판사의 절판 처분을 받는 책도 부지기수다.
문성호PD sungho@seoul.co.kr
희귀본과 절판본 수집에 남다른 경지를 개척한 박균호씨가 ‘빨갱이 도끼 전집’으로 불리는 붉은 색 도스토옙스키 전집을 가리키면서 책의 가치를 설명하고 있다.
문성호PD sungho@seoul.co.kr
문성호PD sungho@seoul.co.kr
경북 상주의 한 고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박균호(43) 교사의 김천시 부곡동 아파트를 찾았다. 가장 넓은 방의 양쪽 벽이 책장 차지였는데 가로 여덟 칸, 세로 일곱 칸에 꽂힌 책들 무게를 못 견뎌 시렁이 활처럼 휘어지곤 한다고 했다. 초등학교 4학년 딸도 밥을 먹으며 책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것이 자신을 빼닮았다고 흔감해하는 박 교사와의 일문일답.
→25년 동안 3000권을 모았다는데 책이 그렇게 많지 않아 보인다.
-기회 있을 때마다 주위에 나눠주기 때문이다. 집에서 차로 30분 걸리는 학교의 여러 곳에 나눠 보관하고 있다. 집이 계속 좁아진다.
●‘숨어사는 외톨박이’와 마주하며 절판본에 눈떠
→지금까지 나눠준 책들이 얼마나 되나.
-헤아릴 수 없다. 인터넷 독서 커뮤니티에도 난, 양보심 많은 이로 알려져 있다. 해서 지금도 여기저기서 책 달라는 이메일과 편지를 받는다.
→절판본, 희귀본에 눈 돌리게 된 계기는.
-1995년에 ‘숨어사는 외톨박이’(1977, 뿌리깊은나무)란 책과 마주하면서였다. 너무 좋아 선물하려 했는데 절판됐다고 했다. 어렵게 책을 구하게 되면서 지독한 새책주의자였던, 전 주인의 메모나 밑줄을 끔찍히 싫어했던 내가 전 주인의 흔적마저 사랑하게 됐다.
박 교사는 최근에 낸 ‘오래된 새책’(아이북스)에 ‘3000권의 책 중에서 단 한 권만 제외하고 모두 버려야 한다면, 집에 불이 나서 단 한 권만 들고 집을 빠져나와야 한다면, 내 인생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권력을 가진 자에게 단 한 권의 책으로 아부를 해야 한다면, 내 가족을 죽음으로부터 구해준 고마운 이에게 책으로 답례를 해야 한다면, 1초의 망설임도 없이 이 책을 선택할 것’이라고 적었다.
→책은 어떻게 구하나.
-독서 커뮤니티에 올라온 추천글을 참조한다. 너무 많은 책 가운데 어떤 책이 좋은 책인지, 또 명실상부한지 판단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해서 희귀본과 절판본을 구하는 이들은 소장 가치가 높다는 책이 나오면 일단 손에 넣고 본다. 다른 사람이 추천한 책에서 다른 책 정보를 얻거나 실마리를 찾는 경우도 많다. 소문과 평판만 좇아 책을 손에 넣었다가 실망해 짜증나는 경우도 있고 그 반대인 경우도 있다.
●“책은 정말로 간절히 원하는 이에게 가야”
→지론이 있다면.
-좋은 책은 언젠가 다시 출간돼 독자의 사랑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절판되는 것도, 재출간을 결정하는 것도 결국 독자 몫이다. 또 하나, 책은 가장 필요로 하는 이에게 가야 한다는 것이다. 욕심에 비싼 값을 치르고 산 책이라도 정말 간절히 원하는 이에게 양보하곤 한다. 최근에 낸 책이 몇몇 언론에 소개되면서 ‘헌책 사냥꾼’이란 오해를 사겠구나 싶다. 책을 사랑하다가 절판본의 가치에 눈뜬 사람에 불과하다.
김천 임병선기자 bsnim@seoul.co.kr
■15일 오전 7시와 오후 7시 케이블 채널 서울신문STV ‘TV 쏙 서울신문’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11-10-1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