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학년도에는 지난해 C·D등급을 받은 대학에 대한 올해 재평가와 자구노력 등을 통해 모두 6269명의 교원양성 정원이 감축됐다. 이에 따라 교육(학)과를 지원하려는 수험생들의 경쟁률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일 일반대 교육과가 설치된 54개 대학과 지난해 C등급 이하 판정을 받은 35개 대학 등 모두 89개교를 대상으로 올해 경영 상태와 교육 여건, 성과 등을 평가한 ‘2011년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평가에 따르면 97개 교육과 가운데 연세대 교육학부, 동의대 유아교육과 등 22개 학과가 A(우수)등급을 받았다. B(양호)등급은 54개교다. A·B등급은 전체의 78.4%이다. 반면 가톨릭대·나사렛대·대불대·안양대·위덕대 등 10개 대학의 17개과가 C등급, 경동대·경주대·광주대·명신대 등 4개교 4개과는 D등급을 받았다.
교직과정 평가에서는 51개 대학 중 서울여대·연세대·한국체대만 A등급을, 6개교는 B등급을 받았다. C등급은 11개교, D등급은 23개교로 전체의 85%가 재평가 대상으로 선정됐다. 교육대학원 역시 40개 대학 가운데 연세대와 용인대만 A등급을, 34개교는 C·D등급을 맞았다.
교과부는 평가 하위인 C·D 등급 대학에 사범계 학과 입학 정원을 각각 20%와 50%, 교직과정 승인 인원도 20%와 50% 줄이도록 조치했다. 교육대학원 양성 기능의 경우 C등급은 50% 줄이고, D등급은 아예 폐지한다.
올해 재평가 결과 사범대 가운데 9개교가 모두 전임교원 확보율,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등의 지표가 상승하면서 모두 B등급을 받아 입학정원 감축의 불이익을 피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09-0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