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지주 분위기
신한금융그룹은 9일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과 이백순 신한은행장이 구속될 것이란 얘기가 검찰 주변에서 흘러나오면서 충격에 휩싸였다. 신한 측은 “검찰 조사 결과를 예단 없이 지켜보겠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지만 현직 최고경영자(CEO)의 사법처리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신한금융은 이날 제3차 특별위원회를 열어 지배구조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류시열 회장과 사외이사 8명으로 꾸려진 특위에서 검찰 수사에 관한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이제 사태가 수습되려는 참인데 검찰 수사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 상당히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지난 6일 신 전 사장이 사의를 표명하고, 신한은행이 고소를 취하하면서 ‘신한 사태’는 화해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변수로 고려됐던 검찰 수사가 앞으로 사태 전개의 급반전을 예고하고 있다. 검찰이 신 전 사장과 이 행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고 법원이 받아들이면 신한금융의 경영권 공백은 한동안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또 지배구조 개편 논의도 사실상 뒤집어야 한다. 여기다 라응찬 전 회장을 비롯한 ‘신한 빅3’의 조기 동반사퇴 압력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 측이 내년 3월 주총을 앞두고 검토한 시나리오가 모두 헝클어지는 셈이다.
만약 이 행장이 사법처리되면 은행장 신분을 계속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신한금융 이사회가 은행의 고소만으로 신 전 사장을 직무정지한 선례가 있음에 따라 이 행장에 대한 직무정지를 결정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경우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행장 가운데 행장 대행을 선임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황에 따라 신한금융이 자회사경영관리위원회를 열어 신임 행장을 뽑을 수도 있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10-12-1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