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와 지휘체계를 자랑으로 여기는 군이 천안함 침몰 사고와 관련, 연일 갈지(之)자 발표를 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지난 26일 밤 천안함이 침몰한 이후부터 군의 발표가 왔다갔다하고 현장과 지휘부 간의 엇박자로 불필요한 의혹만 키우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9일 오후 9시30분쯤 일부 언론이 “실종자 대부분이 있는 함미(艦尾) 내부로 산소를 주입했다.”고 보도하자 합참은 20분 뒤 “공기주입에 대해 보고 받지도 않았고 그런 사실이 없다.”면서 “선체 진입을 시도 중”이라고 밝혔다. 합참 관계자는 3시간 뒤인 30일 0시50분쯤 기자실로 찾아와 “사과는 나중에 다시 드리겠다.”면서 “전날 오후 8시14분부터 27분까지 산소통 1개 분량의 공기를 주입했다.”고 정정했다. 구조작업도 이미 오후 9시30분경 끝난 상태였다.
합참은 사고가 난 날부터 사실과 동떨어진 얘기를 했다. 합참은 26일 밤 “사고 발생시각은 오후 9시45분”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다음날 최원일 천안함 함장은 실종자 가족들에게 “오후 9시25분쯤 내일의 작전구상을 하고 있던 중 폭발음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국방부는 사고 발생 시각을 9시30분으로 보고했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29일 국회 국방위에서 사고시각을 9시25분으로 밝혔다. 승조원 56명을 구조한 해경은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사고발생 시각을 9시15분으로 적시했다. 실종된 부사관이 사고당일 밤 여자친구와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주고받다 오후 9시16분 갑자기 중단됐다는 주장도 있기 때문에 정황상 해경의 자료가 맞을 가능성이 높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 [사진] 실낱같은 희망이라도…천안함 침몰 그후
29일 오후 9시30분쯤 일부 언론이 “실종자 대부분이 있는 함미(艦尾) 내부로 산소를 주입했다.”고 보도하자 합참은 20분 뒤 “공기주입에 대해 보고 받지도 않았고 그런 사실이 없다.”면서 “선체 진입을 시도 중”이라고 밝혔다. 합참 관계자는 3시간 뒤인 30일 0시50분쯤 기자실로 찾아와 “사과는 나중에 다시 드리겠다.”면서 “전날 오후 8시14분부터 27분까지 산소통 1개 분량의 공기를 주입했다.”고 정정했다. 구조작업도 이미 오후 9시30분경 끝난 상태였다.
합참은 사고가 난 날부터 사실과 동떨어진 얘기를 했다. 합참은 26일 밤 “사고 발생시각은 오후 9시45분”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다음날 최원일 천안함 함장은 실종자 가족들에게 “오후 9시25분쯤 내일의 작전구상을 하고 있던 중 폭발음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국방부는 사고 발생 시각을 9시30분으로 보고했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29일 국회 국방위에서 사고시각을 9시25분으로 밝혔다. 승조원 56명을 구조한 해경은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사고발생 시각을 9시15분으로 적시했다. 실종된 부사관이 사고당일 밤 여자친구와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주고받다 오후 9시16분 갑자기 중단됐다는 주장도 있기 때문에 정황상 해경의 자료가 맞을 가능성이 높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 [사진] 실낱같은 희망이라도…천안함 침몰 그후
2010-03-3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