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2024.12.7 국회사진기자단
12·3 계엄 사태 핵심 관계자 중 하나로 꼽히는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13일 입장문을 내고 “국민 여러분께 큰 불안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여 전 사령관은 “무엇보다도 지휘관인 저를 믿고 명령을 따른 부하들에게 씻을 수 없는 어려움을 초래한 데 대하여도 깊은 책임을 통감한다”면서 “오늘도 자유민주주의 수호의 최전선에 싸우고 있는 부대원 한 명 한 명 손을 잡고 무릎 꿇고 사죄하고 싶다”고 했다.
그는 “지난 12월 3일 장관의 명을 받고 명령을 이행하여야 한다는 의무감과 이로 인해 빚어질 제반 결과 사이에 심각하게 고민했으나 결국 군인으로서, 지휘관으로서 명령을 따랐다”면서 “저의 판단, 행위와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엄중하게 받아들이며 그에 대한 법적책임을 온전히 지겠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충암고 동문인 여 전 사령관은 ‘충암파’로 엮이며 이번 계엄 사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는 여 전 사령관이 계엄 사태가 있기 며칠 전부터 비상계엄을 인지하고 관련 지시까지 내린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여 전 사령관은 “저를 믿고 비록 수동적으로나마 명령을 이행하여야만 했던 부하들은 최대한의 선처와 관용을 베풀어 주시기 바란다”면서 “앞으로 진행될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제가 이번 일에 임하게 된 마음과 여러 조치에 대해서는 성실히 임하여 소상히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더불어 구속영장실질심사 절차에서 구속 필요성을 두고 심문에 응하는 것도 포기했다는 사실도 알렸다.
그는 “1988년 이래 걸어 온 군인으로서의 명예로운 길에 크나큰 오점을 남기고 이러한 모습을 보이게 되어 국민 여러분과 저희 부대원들, 그리고 가족에게 송구스러운 마음”이라며 “앞으로 역사와 현실의 법정에서 제 행동과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겠으며 늘 그래왔던 것처럼 조국의 발전을 위하여 기도하며 마음으로나마 국민 여러분과 함께하겠다”고 글을 마쳤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