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만에 평양 남북정상회담 전망
북 정권창립 9·9절 연계땐 남남갈등 우려우방국 초청 등 준비와 병행도 힘들어
폼페이오·시진핑 방북 가능성 등 얽혀
새달 중순 유력하지만 아직은 유동적
“남, 대미 제재 완화 노력 압박” 분석도

판문점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군사분계선 넘은 조명균 장관
조명균(앞줄 가운데) 통일부 장관이 13일 경기 파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 고위급회담에 참석하려고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측 관계자와 악수하고 있다.
판문점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판문점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최근 들어 평양 정상회담이 가을이 아닌 8월 말이나 9월 초에 열릴 거라는 예측이 많았다. 하지만 북측이 ‘9·9절’(9월 9일·북한 정권창립기념일)을 맞이해 우방국 귀빈을 초대하는 등 대대적인 준비를 진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정상회담 병행은 힘들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남측 입장에서도 9월 초 정상회담은 북한 정권창립일과 연계돼 남남갈등이 커질 우려가 있다. 또 남측은 이번 정상회담과 함께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진전으로 다음달 18일 개막하는 유엔총회에서 남·북·미 정상이 모두 연설 무대에 서고, 종전선언이 이뤄지는 것을 최상의 시나리오로 보고 있다. 따라서 유엔총회가 한 달 이상 남은 8월 말 정상회담은 추동력이 약할 수 있다.
양측이 정상회담 날짜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은 것은 이례적이다. 북한의 9월 외교 일정이 워낙 유동적이어서 만에 하나 회담 일정을 변경할 가능성에 대비해 발표하지 않은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특히 과거 두 차례 대통령 방북 때와 달리 지금은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라는 변수가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북측이 날짜에 유동성을 유지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그중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 일정이 확정되지 않은 게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한다는 관측도 곁들여진다. 북·미 간 협상 결과를 토대로 남북 정상회담을 해야 효율성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남북 정상회담을 폼페이오 장관 방북 이후로 상정하고 있다는 얘기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남북이 9월 안에 만나는 건 확정됐지만 (북한이 비핵화와 관련해) 미국과 뭔가 풀지 않으면 그냥 카드를 소진하는 것일 수 있다”며 “여러 상황상 조금 더 두고 보면서 정상회담 날짜를 결정하겠다는 뜻인 것 같다”고 말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폼페이오 장관이 방북 시기를 조율하고 있고, 최근까지 판문점에서 북·미 양측이 비공개로 실무 협의를 한 것으로 안다”며 “9·9절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북한 방문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평양 남북 정상회담이 여러 변화의 조짐과 함께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판문점 공동취재단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8-08-14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