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中 리커창 총리 31일 회담 ‘내년엔 日서 개최’ 공동성명 명기 검토
한·중·일 3국은 다음달 1일 서울에서 정상회담을 열기로 했으며 한·중은 오는 31일 서울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리커창(李克强) 총리 사이의 정상회담 개최에 최종 합의한 것으로 확인됐다.그러나 한·일 양국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서울 방문을 일주일 남짓 남겨둔 상황에서도 양자 정상회담 개최를 최종 결정짓지 못하는 등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한·중·일 정상회담 등과 관련한 공식 일정 발표도 지연되고 있다.
도쿄 외교소식통들은 23일 “당초 31일에 열려던 3국 정상회담은 한·중 정상회담이 31일로 정해지면서 하루 늦춘 다음달 1일 개최로 최종 정리됐다”며 이같이 전했다. 한·일 정상회담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견해차로 아직 절충 중이라고 밝혔다.
일본 측은 정상회담을 통한 이견 해소를 주장하는 반면 한국 측은 일본의 성의 있는 대응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통들은 정상회담 개최 여부는 실무선을 떠나 최고 결정권자들의 결단에 달렸음을 시사했다.
NHK는 한·일은 아울러 정상회담 기간에 양국 외교장관 회담을 하고 위안부 문제, 한국 검찰의 산케이신문 기자에 대한 구형 등의 현안을 협의키로 했다고 이날 전했다. 외교장관 회담은 정상회담을 위한 현안 정리 성격으로 보인다.
한편 한·중·일은 내년 3국 정상회담을 일본에서 열기로 하고 이를 이번 회담의 공동성명에 명기하는 방향으로 조율 중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내년 회담이 일본에서 열리면 박 대통령과 리 총리 모두 취임 뒤 첫 일본 방문이 된다.
한·중·일은 2008년부터 해마다 3국 정상이 만나는 연례 회담 개최에 합의했으나 중·일 영토분쟁, 한·일 관계 악화 등으로 2012년 5월을 끝으로 중단됐었다. 이번 공동선언문에는 원자력 시설 사고 정보에 대한 3국 간 온라인 정보 공유 체계 확립, 재해 대응 및 환경 협력 강화, 사이버 분야 신뢰 형성, 관광 교류 확대 등도 담을 예정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다.
한·중·일 3국 정상회담에는 중국에서는 국가 주석이 아닌 총리가 참석하는 것으로 합의돼 이번에도 리 총리가 참석한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5-10-2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