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무상 지낸 부친 아베 신타로 양국관계 개선 노력한 친한파
윤병세 외교장관은 22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빛바랜 사진 두 장을 선물했다. 1984년 7월 아베 총리의 부친인 아베 신타로 당시 외무상이 서울을 방문, 우리 측 이원경 외교장관과 악수하는 장면과 같은 날 아베 외무상이 판문점에서 손을 치켜든 모습의 사진이다.
외교부 제공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 중인 윤병세(왼쪽) 외교부 장관이 22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아베 신조 총리를 만나 아베 총리의 선친인 아베 신타로 전 외무상의 사진을 들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외교부 제공
윤 장관은 이날 도쿄의 총리 관저를 예방해 박근혜 대통령의 구두 메시지를 전한 뒤 이 선물을 전달했다. 아베 총리는 사진을 건네받고 윤 장관의 설명을 들은 뒤 한국말로 “감사합니다”라고 인사를 하는 등 반색했다고 한다.
배석한 관계자는 “부친이 한·일 관계 개선에 많은 역할과 노력을 했으니 아베 총리에게도 그러한 역할을 기대한다는 바람과 메시지를 사진 선물을 통해 전달한 것 아니겠냐”고 해석했다.
아베 총리의 집안은 대대로 양국 관계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유명하다. 아베 총리의 외할아버지인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는 박 대통령의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과 두터운 친분을 가졌고 한·일 수교의 막후 역할을 했다. 기시 전 총리의 친동생인 사토 에이사쿠 전 총리는 1965년 한·일 기본관계조약에 서명한 당사자였다.
아베 총리도 이날 도쿄의 한국대사관 주최 수교기념 리셉션 축사에서 “외할아버지와 외종조부 등 집안 어른들이 국교정상화에 깊이 관여했다”고 소개했다. 또 “고향 시모노세키는 에도 시대 조선통신사가 상륙한 곳이고 부산과의 자매도시로 매년 12월엔 ‘리틀 부산 페스타’라는 축제가 열린다”며 한국과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했다.
이런 집안 배경과 함께 지역구인 규슈 야마구치현의 역사와 사정을 잘 아는 아베 총리는 한·일 관계에 남다른 감회와 복잡한 생각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야마구치현은 조선통신사가 왕래하던 교역로였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5-06-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