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선수단의 인천아시안게임 참가와 관련해 정부가 26일 북측에 회신 서한을 보내면서 지난달 17일 실무접촉 결렬 이후 중단된 남북 간 협의가 재개됐다.
그러나 쟁점 중 하나였던 북측 응원단 파견 문제는 일단 의제에 오르지 않은 상태다.
정부는 이날 북측에 보낸 회신에서 북한 선수단의 대회 참가 지원과 서해 직항로를 이용한 이동 등의 문제에 대체로 협조적인 뜻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응원단 파견 문제에 대해서는 지난 22일 북한이 우리측에 전한 서한에서 관련 언급이 없었다는 이유로 이번 회신에서 입장을 넣지 않았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이 응원단을 보낼 의사가 있으면 미리 실무적인 준비도 하고 각종 협의할 문제도 많기 때문에 당연히 제의가 올 것”이라며 우리측에서 먼저 응원단 파견 여부를 논하기는 부적절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북한이 그동안 응원단 파견 방침을 밝혀 왔다는 점에서 앞으로 문서 교환을 통한 남북간 협의가 계속되면서 응원단 파견 문제가 다시 논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은 지난달 7일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응원단 파견 방침을 발표했고, 이후 실무접촉에서 응원단 규모가 역대 최대인 350명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북한의 ‘대남 평화공세’의 일환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정부는 관례에 따라 북한 응원단 파견을 수용한다는 입장을 발표했지만, 내부에서는 대규모 응원단 파견을 먼저 나서서 반길 이유는 없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이번 대회의 흥행을 위해 북한 응원단 참가가 필요하다는 조직위원회 등의 목소리도 있지만, 통일부 당국자는 “조직위 차원에서 그런 희망 사항이 있을 수 있지만 공식적으로 북한에 제기할 수 있는 성질의 사안이 아니라고 본다”며 “남북 당국간 협의가 돼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끝까지 응원단 문제를 먼저 제기하지 않을 경우 응원단 파견이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또 응원단 문제가 다시 논의되더라도 체류비용 지원 문제 등을 둘러싼 남북 간 신경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관측이다.
연합뉴스
그러나 쟁점 중 하나였던 북측 응원단 파견 문제는 일단 의제에 오르지 않은 상태다.
정부는 이날 북측에 보낸 회신에서 북한 선수단의 대회 참가 지원과 서해 직항로를 이용한 이동 등의 문제에 대체로 협조적인 뜻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응원단 파견 문제에 대해서는 지난 22일 북한이 우리측에 전한 서한에서 관련 언급이 없었다는 이유로 이번 회신에서 입장을 넣지 않았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이 응원단을 보낼 의사가 있으면 미리 실무적인 준비도 하고 각종 협의할 문제도 많기 때문에 당연히 제의가 올 것”이라며 우리측에서 먼저 응원단 파견 여부를 논하기는 부적절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북한이 그동안 응원단 파견 방침을 밝혀 왔다는 점에서 앞으로 문서 교환을 통한 남북간 협의가 계속되면서 응원단 파견 문제가 다시 논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은 지난달 7일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응원단 파견 방침을 발표했고, 이후 실무접촉에서 응원단 규모가 역대 최대인 350명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북한의 ‘대남 평화공세’의 일환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정부는 관례에 따라 북한 응원단 파견을 수용한다는 입장을 발표했지만, 내부에서는 대규모 응원단 파견을 먼저 나서서 반길 이유는 없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이번 대회의 흥행을 위해 북한 응원단 참가가 필요하다는 조직위원회 등의 목소리도 있지만, 통일부 당국자는 “조직위 차원에서 그런 희망 사항이 있을 수 있지만 공식적으로 북한에 제기할 수 있는 성질의 사안이 아니라고 본다”며 “남북 당국간 협의가 돼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끝까지 응원단 문제를 먼저 제기하지 않을 경우 응원단 파견이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또 응원단 문제가 다시 논의되더라도 체류비용 지원 문제 등을 둘러싼 남북 간 신경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관측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