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은밀침투 잠수함 부술 신형 무기 정체는

北 은밀침투 잠수함 부술 신형 무기 정체는

입력 2014-02-07 00:00
수정 2014-02-0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해군 속 공군’인 해상초계기가 왜 필요한지는 ‘잠수함 킬러’라는 별명을 떠올리면 금세 눈치챌 수 있다. 바로 ‘바다 속 귀신’으로 불리는 잠수함을 잡기 위해 개발됐다. 넓고, 깊은 바다에서 은밀하게 침투해오는 수상함이나 잠수함을 포착하고 공격하기 위해선 그만큼 작전 반경이 넓고 빠른 공군 전력의 벤치마킹이 절실했기 때문이다.



우리 해군도 1995년에 P3C를 도입해 전·평시 작전 해역에 대한 해상초계, 조기경보 및 정보수집, 대잠전, 대수상함전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P3C는 미국에서 1950년대 여객기 록히드 엘렉트라의 기체를 기초로 개발된 초계기의 성능개량형이다. 우리 해군은 최근 P3C 를 기초로 주·야간 광학탐지장치(FLIR), 적의 레이더 전파를 역추적해 위치를 알아내는 전자전 장비(ESM) 등 탐지장비를 업그레이드한 한국형 초계기인 P3CK를 8대 추가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P3C의 최대속도는 시속 760㎞, 순항속도는 시속 380㎞다. 천적 관계인 잠수함보다는 10배 이상 빠른 속도다. 또 작전반경은 2800㎞로 해상작전 구역 길이가 휴전선 길이의 9.5배나 되는 한반도 지형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체에는 48연발 투사기가 달려 있어 음파탐지기 부표(sonobuoy) 등을 투하할 수 있고 자기이상탐지(MAD)장치를 탑재해 전파로 잠수함을 탐지한다. 어뢰(청상어)를 장착해 잠수함 발견 즉시 공격이 가능하다. 공대함 미사일인 ‘AGM-84L 하픈II’도 운용할 수 있다.

해군 관계자는 “P3C는 전장의 전 영역에서 독자적으로 해역 전장감시와 조기경보 임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먼 거리까지 대함·대잠작전을 펼칠 수 있어 해군의 잠수함-수상함-항공기를 아우른 입체전력 구비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