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월 캐나다 첫 회의는 ‘친목도모’ 서울에선 反테러·동반성장 공조 논의
주요 20개국(G20) 의장회의는 지난해 9월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린 게 처음이다. 첫 회의만 해도 G20 국가 의장들의 단순한 친목 도모를 위한 자리였다. 그러나 의장들은 글로벌 이슈에 대한 의회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박희태 국회의장이 정례화를 제안했고, 2차 회의를 개최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G20 정상회의를 개최했던 점도 감안돼 2차 회의 개최는 만장일치로 성사됐다.2박 3일 동안 의장들은 ‘공동번영을 위한 개발과 성장’이라는 의제를 놓고 머리를 맞댄다. ▲세계평화·반(反)테러를 위한 의회 간 공조 전략 ▲선진국의 개발경험 공유를 통한 개발도상국 발전 전략 ▲금융위기 이후 동반성장을 위한 국제공조와 의회의 역할 등에 대해 토론한다.
의장회의는 ‘안전한 세계, 더 나은 미래’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지구촌 안전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 마련과 개발, 동반성장의 길을 모색하자는 내용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박 의장은 “차기 개최국이 결정되는 등 정례화에 대해 합의하고 공동선언과 같은 실질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면 이번 회의가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회의에는 G20 정회원인 20개국과 비회원국인 알제리, 에티오피아, 적도기니, 싱가포르, 스페인 의회 의장 또는 부의장들이 참석한다. 국제의원연맹(IPU) 사무총장도 함께한다. 국회는 지난 1차회의에서는 상원 의장들이 주축이 된 반면 이번에는 양원을 모두 초청했다는 데 상징적 의미를 부여했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2011-05-02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