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포격 이후 북한은 군사적 긴장을 강화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협상을 이끌고 나가기 위해 장거리 미사일 실험이나 3번째 핵 실험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미국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 인터넷판이 지난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SM은 서울발 기사에서 국내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1990년대 1차 핵위기 때에도 북한은 벼랑끝 전술을 통해 긴장을 높이고 위기를 고조시킨 뒤 협상장에 나왔듯이, 이번에도 그렇게 하려고 할 것이라고 핵 실험 강행에 무게를 실었다.
CSM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나 추가 핵 실험은 한·미·일 세 나라가 북한과의 6자회담 재개 등 대화 개최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협상의 물꼬를 트는 수단으로 이용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같은 분석은 중국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북한이 3차 핵실험에 나서지는 않을 것 같다.”는 지난 23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의 보도와 대비된다.
당시 FT는 “중국 전문가들은 북한이 2006, 2009년과 같은 형태의 핵 실험을 추가로 단행, 중국을 당혹스럽게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또 한국 외교안보연구원이 지난 24일 발간한 ‘2011 국제정세전망’ 보고서를 소개하면서 북한의 핵 무장 강화와 3차 핵실험 등 군사적 도발 가능성 등에 초점을 맞췄다.
CSM은 북한이 우라늄농축 핵 무기 실험을 실시하지 않았지만 우라늄농축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이뤘으며 지난달 지그프리드 헤커 미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 소장이 북한 방문에서 확인한 영변 우라늄 농축 공장 말고도 여러 곳에 우라늄 농축 시설을 유지하고 있다고 정보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이석우기자 jun88@seoul.co.kr
CSM은 서울발 기사에서 국내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1990년대 1차 핵위기 때에도 북한은 벼랑끝 전술을 통해 긴장을 높이고 위기를 고조시킨 뒤 협상장에 나왔듯이, 이번에도 그렇게 하려고 할 것이라고 핵 실험 강행에 무게를 실었다.
CSM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나 추가 핵 실험은 한·미·일 세 나라가 북한과의 6자회담 재개 등 대화 개최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협상의 물꼬를 트는 수단으로 이용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같은 분석은 중국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북한이 3차 핵실험에 나서지는 않을 것 같다.”는 지난 23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의 보도와 대비된다.
당시 FT는 “중국 전문가들은 북한이 2006, 2009년과 같은 형태의 핵 실험을 추가로 단행, 중국을 당혹스럽게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또 한국 외교안보연구원이 지난 24일 발간한 ‘2011 국제정세전망’ 보고서를 소개하면서 북한의 핵 무장 강화와 3차 핵실험 등 군사적 도발 가능성 등에 초점을 맞췄다.
CSM은 북한이 우라늄농축 핵 무기 실험을 실시하지 않았지만 우라늄농축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이뤘으며 지난달 지그프리드 헤커 미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 소장이 북한 방문에서 확인한 영변 우라늄 농축 공장 말고도 여러 곳에 우라늄 농축 시설을 유지하고 있다고 정보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이석우기자 jun88@seoul.co.kr
2010-12-2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