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와 인터뷰…“해외 북한노동자 인권문제 해결에 한·미 공조”
로버트 킹(74)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도널드 트럼프 정권에서도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미국의 정책이 진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킹 특사는 14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진행된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내에서 북한 인권문제는 굉장히 광범위하고, 초당적인 의견일치를 이루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그는 지난 1월 북한 인권유린 행위에 가담한 개인과 단체들을 처벌할 수 있는 내용을 담은 대북제재안에 대해 “상원에서 만장일치로 통과했다”며 “하원에서도 435명의 의원 가운데 단 두 명이 반대했다”고 설명했다.
킹 특사는 “이것은 미국이 북한 인권에 대해 정치적으로 어떤 입장인지 가장 명백하게 보여주는 신호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의 성향이나 과거 발언에 비춰볼 때 북한 인권 정책이 탄력을 잃을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도 있다고 하자 그는 “북한 인권에 대한 정책은 대부분의 미국인이 매우 강력하게 동의하기 때문에 트럼프 정권에서도 계속 진전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킹 특사는 “해외노동자 인권문제에 대해 미국과 한국은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면서 “이 문제는 계속 관심을 받고 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 간의 공조 노력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유엔총회 산하 제3위원회는 16일 새벽(뉴욕 현지시간 15일) 북한인권결의안을 표결로 채택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북한 인권결의안은 ‘리더십’이라는 표현을 처음으로 넣어 북한 지도부의 책임성을 보다 선명하게 했다.
킹 특사는 “리더십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것은 중요하다”며 “북한의 최상층 지도부뿐 아니라 다른 계층도 모두 포함해 인권 침해를 하는 자들 모두에게 책임을 묻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음 달 발표될 두 번째 북한 인권제재 명단에 대해 “선정 기준은 이전과 똑같다”며 “리스트에 올라간 개인이나 조직이 법적으로 제재를 받을 수 있도록 이행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킹 특사는 “현재로써는 명단에 어떤 이름이 올라갈지 밝힐 수 없다”면서 “우리가 수집한 정보와 법적 절차에 따라 명단 작성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